‘꿈의 열차….’
보도자료로 접한 58㎞의 서울역~인천공항 간 공항철도의 모습은 그랬다. 승객 한명이 자동차가 아닌 공항열차를 이용할 때 줄어드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소나무 서너 그루를 심는 것과 같다니 녹색혁명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21세기 첨단 인프라를 다루는 사람들의 의식은 여전히 19세기에 머물러 있던 점이 문제이다. 지난 3일 시승식에서 수하물 처리설비(BHS)를 놓고 이어진 대화에서 잘 드러났다. “일반열차는 한시 적용입니까?”(기자) “아니요, 직통열차와 같습니다.”(코레일 허준영 사장) “(귀엣말) 그게 아닙니다. 한시적입니다….”(코레일 공항철도 관계자) “그럼, ‘한시적’을 빼세요.”(허 사장) “네….”(공항철도 관계자)
서울역도심공항터미널에서 수하물을 부치면 자동으로 출국 비행기에 짐이 실리는 BHS는 이번 열차 개통의 핵심 설비. 운영비 문제로 하루 사용인원은 4000여명으로 제한받는다. 기자단은 1만 3300원을 내는 직통열차 승객과 5300원을 내는 일반열차 승객이 같은 서비스를 받는다는 데 의문을 제기했고, 허 사장은 “문제 없다.”며 일축했다. 공항철도와 국토부 입장은 코레일과 달랐다. 공항철도 관계자는 “직통열차 승객에게 우선권이 있고 일반열차 승객에겐 한시적으로 제공된다.”고 말했다가 허 사장의 말 한마디에 ‘한시적’이란 표현을 뺐다. 공항철도는 코레일이 지분 88%를 소유한 자회사다.
국토부 관계자는 “(정부와) 사전협의가 필요한 사항으로 코레일이 독단적으로 결정할 문제는 아니다.”고 못박았다. 정부의 공항철도에 대한 최소운영수입보장과 관련 깊다. 2007년 김포공항~인천공항 공항철도 개통 뒤 정부는 매년 1000억~1600억원의 운영손실을 보조해왔다. BHS의 확대 적용이 손실을 가져올까 우려한 것이다. 시승식에선 과도한 열차 소음과 엇갈리는 코레일 측 해명도 도마에 올랐다. 다음 달 정식 개통 때까지 계속 삐걱거리지는 않을지 걱정스러운 대목이다.
sdoh@seoul.co.kr
보도자료로 접한 58㎞의 서울역~인천공항 간 공항철도의 모습은 그랬다. 승객 한명이 자동차가 아닌 공항열차를 이용할 때 줄어드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소나무 서너 그루를 심는 것과 같다니 녹색혁명임에 틀림없다.
오상도 산업부 기자
하지만 21세기 첨단 인프라를 다루는 사람들의 의식은 여전히 19세기에 머물러 있던 점이 문제이다. 지난 3일 시승식에서 수하물 처리설비(BHS)를 놓고 이어진 대화에서 잘 드러났다. “일반열차는 한시 적용입니까?”(기자) “아니요, 직통열차와 같습니다.”(코레일 허준영 사장) “(귀엣말) 그게 아닙니다. 한시적입니다….”(코레일 공항철도 관계자) “그럼, ‘한시적’을 빼세요.”(허 사장) “네….”(공항철도 관계자)
서울역도심공항터미널에서 수하물을 부치면 자동으로 출국 비행기에 짐이 실리는 BHS는 이번 열차 개통의 핵심 설비. 운영비 문제로 하루 사용인원은 4000여명으로 제한받는다. 기자단은 1만 3300원을 내는 직통열차 승객과 5300원을 내는 일반열차 승객이 같은 서비스를 받는다는 데 의문을 제기했고, 허 사장은 “문제 없다.”며 일축했다. 공항철도와 국토부 입장은 코레일과 달랐다. 공항철도 관계자는 “직통열차 승객에게 우선권이 있고 일반열차 승객에겐 한시적으로 제공된다.”고 말했다가 허 사장의 말 한마디에 ‘한시적’이란 표현을 뺐다. 공항철도는 코레일이 지분 88%를 소유한 자회사다.
국토부 관계자는 “(정부와) 사전협의가 필요한 사항으로 코레일이 독단적으로 결정할 문제는 아니다.”고 못박았다. 정부의 공항철도에 대한 최소운영수입보장과 관련 깊다. 2007년 김포공항~인천공항 공항철도 개통 뒤 정부는 매년 1000억~1600억원의 운영손실을 보조해왔다. BHS의 확대 적용이 손실을 가져올까 우려한 것이다. 시승식에선 과도한 열차 소음과 엇갈리는 코레일 측 해명도 도마에 올랐다. 다음 달 정식 개통 때까지 계속 삐걱거리지는 않을지 걱정스러운 대목이다.
sdoh@seoul.co.kr
2010-11-0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