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광화문 수난사/이춘규 논설위원

[씨줄날줄] 광화문 수난사/이춘규 논설위원

입력 2010-11-05 00:00
수정 2010-11-05 0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광화문(光化門)은 궁궐마다 있는 평범한 문이 아니다. 빛나는 국보 숭례문이 불탄 지금 외국인들에게 우리의 문화를 상징하는 존재다. 대한민국의 얼굴이라고도 할 수 있는 것이다. 국민의 자존심이기도 하다. 그래서 광화문 원형 복원에 관심이 뜨거웠다. 빛의 문 광화문은 우리 민족이 어려울 때면 빛을 잃곤 했다. 600년 광화문의 수난사는 민족 수난사와 떼어놓을 수 없는 관계다.

광화문은 조선 개국 직후인 1395년에 건립됐다. 정도전은 경복궁의 정문인 이 문을 사방에서 어진 사람이 오가는 문이라 해서 사정문(四正門)이라고 했다. 1425년 세종대왕은 경복궁을 중수하면서 광화문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왕의 큰 덕이 온 나라를 비춘다는 의미를 담았다. ‘광피사표 화급만방’(光被四表 化及萬方·빛이 사방을 덮고 교화가 만방에 미친다)이라는 서경(書經) 글귀에서 따왔다.

하지만 광화문의 운명은 이름을 지은이의 비원과는 달리 모질었다. 광화문은 오랜 세월 수난을 겪는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일으킨 1592년 임진왜란 때 광화문은 처음 불탔다. 건립된 지 200년을 목전에 둔 시점이었다. 긴 수난의 시작이었다. 1865년 흥선대원군의 경복궁 중건 때 이르러서야 270여년 만에 재건됐다. 그때 광화문 현판은 한자로 쓰여졌다. 그 뒤 일제에 국권을 내준 뒤 조선총독부 건물에 밀려 1926년 해체돼 경복궁 내 지금의 민속박물관 근처로 이전됐다. 민족정기 말살책이었다.

한국전쟁은 더 큰 시련을 안겼다. 폭격으로 현판을 포함한 목조로 된 다락 부분이 불에 타 축대만 남았다. 박정희 전 대통령은 1968년 변형된 모습으로 제 위치 부근에 복원하면서 자필 한글 현판을 내걸게 했다. 도로 때문에 10m 이상 뒤로 밀려났다. 1995년 김영삼 당시 대통령이 실시한 경복궁 복원 계획의 하나로 목조구조로 외형은 되살아났다. 그리고 2006년 12월 광화문 제 모습 찾기 사업이 시작됐다. 4년간의 복원 공사를 통해 올 여름 84년 만에야 원래 자리를 되찾았다.

광화문 현판이 복원된 지 석달도 안 돼 10여곳에 균열이 생겼다. 시련이다. 건조한 날씨 때문이라는 문화재청의 해명은 옹색하다. 전문가들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등에 맞춰 공기를 앞당긴 속도전이 부실을 초래했다고 주장한다. 틈새 메우기로 복구하려 했던 것도 너무 경솔했다는 지적이 많다. 축대나 기둥 등 복원을 거친 다른 시설을 포함, 차분하게 보완해야 한다는 주문도 있다. 광화문의 수난은 더 이상 없어야 한다.

이춘규 논설위원 taein@seoul.co.kr
2010-11-0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애도기간 중 연예인들의 SNS 활동 어떻게 생각하나요?
제주항공 참사로 179명의 승객이 사망한 가운데 정부는 지난 1월 4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습니다. 해당기간에 자신의 SNS에 근황사진 등을 올린 일부 연예인들이 애도기간에 맞지 않는 경솔한 행동이라고 대중의 지탄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애도기간에 이런 행동은 경솔하다고 생각한다.
표현의 자유고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안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