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계 올림픽, 월드컵 축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세계 3대 스포츠 축제로 불린다. 셋을 모두 개최하면 ‘트리플 크라운’(Triple Crown)이다. 우리는 내년에 이룬다.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만 치르면 된다. 트리플 크라운을 이룬 국가는 6개국. 이탈리아·프랑스·스웨덴·독일·스페인·일본 등이다. 3대 축제에 동계올림픽을 더하면 ‘그랜드슬램’이다. 이를 이룬 나라는 4개국에 불과하다. 프랑스·독일·이탈리아·일본 등이다.
한국이 4개 무대에 데뷔한 건 1932년. 미국 LA에서 열린 제10회 하계 올림픽 때다. 출전 선수는 3명에 불과했다. 복싱의 황을수, 육상의 김은배·권태하 선수 등이다. 그나마 일본 국적으로 참가해야만 했다. 스포츠 외교 역량을 키운 지는 오래되지 않는다. 1988년 서울올림픽 때부터다. 2002 한·일 월드컵 공동 개최를 거쳐 트리플 크라운을 해냈다. 이제 그랜드슬램을 눈앞에 두고 있다.
그랜드슬램은 2011년 7월 6일 판가름난다. 남아공 더반에서 열리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에서다. 여기서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유치하면 그랜드슬램이다. 그에 앞서 또 하나의 금자탑이 기다리고 있다. 2022년 월드컵 유치다. 2002년 한·일 월드컵에 이어 단독 개최에 도전 중이다. 다음달 2일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리는 국제축구연맹(FIFA) 집행위원회에서 판가름난다. 성공하면 월드컵을 2회 개최한 5번째 국가가 된다.
이명박 대통령이 취리히 현지에 지원하러 가느냐를 놓고 말들이 많다.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미묘하게 인식되고 있다. 우선 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의 대선 도전과 맞물린다. 이 대통령이 직접 나서면 ‘밀어주기’ 논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 청와대로서는 곤혹스러운 대목이다. 팔짱을 끼고 있어도 고민스럽기는 마찬가지다. 국가적 대사(大事)를 외면하느냐는 비판이 걱정스러운 눈치다. 유치 가능성을 적게 보고 발을 빼는 게 아니냐는 시선으로 볼까봐 신경 쓰이는 모양이다. 일각에선 ‘실패의 악몽’과 연관짓기도 한다. 2007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평창 동계 올림픽, 지난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하계 올림픽 유치 지원 실패를 두고 하는 얘기다.
월드컵 개최지 선정이 8일 남았다. 이 대통령의 이미지는 현장형이다. 국익을 위해서는 어디든지 달려가는 모습이 요체다. 유치 지원 문제도 이 잣대만으로 접근하는 게 어떨까. 모든 정치적 계산을 뒤로하는 게 정도(正道)일 성싶다. 정치인이든, 일반 국민이든.
박대출 논설위원 dcpark@seoul.co.kr
한국이 4개 무대에 데뷔한 건 1932년. 미국 LA에서 열린 제10회 하계 올림픽 때다. 출전 선수는 3명에 불과했다. 복싱의 황을수, 육상의 김은배·권태하 선수 등이다. 그나마 일본 국적으로 참가해야만 했다. 스포츠 외교 역량을 키운 지는 오래되지 않는다. 1988년 서울올림픽 때부터다. 2002 한·일 월드컵 공동 개최를 거쳐 트리플 크라운을 해냈다. 이제 그랜드슬램을 눈앞에 두고 있다.
그랜드슬램은 2011년 7월 6일 판가름난다. 남아공 더반에서 열리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에서다. 여기서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유치하면 그랜드슬램이다. 그에 앞서 또 하나의 금자탑이 기다리고 있다. 2022년 월드컵 유치다. 2002년 한·일 월드컵에 이어 단독 개최에 도전 중이다. 다음달 2일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리는 국제축구연맹(FIFA) 집행위원회에서 판가름난다. 성공하면 월드컵을 2회 개최한 5번째 국가가 된다.
이명박 대통령이 취리히 현지에 지원하러 가느냐를 놓고 말들이 많다.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미묘하게 인식되고 있다. 우선 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의 대선 도전과 맞물린다. 이 대통령이 직접 나서면 ‘밀어주기’ 논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 청와대로서는 곤혹스러운 대목이다. 팔짱을 끼고 있어도 고민스럽기는 마찬가지다. 국가적 대사(大事)를 외면하느냐는 비판이 걱정스러운 눈치다. 유치 가능성을 적게 보고 발을 빼는 게 아니냐는 시선으로 볼까봐 신경 쓰이는 모양이다. 일각에선 ‘실패의 악몽’과 연관짓기도 한다. 2007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평창 동계 올림픽, 지난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하계 올림픽 유치 지원 실패를 두고 하는 얘기다.
월드컵 개최지 선정이 8일 남았다. 이 대통령의 이미지는 현장형이다. 국익을 위해서는 어디든지 달려가는 모습이 요체다. 유치 지원 문제도 이 잣대만으로 접근하는 게 어떨까. 모든 정치적 계산을 뒤로하는 게 정도(正道)일 성싶다. 정치인이든, 일반 국민이든.
박대출 논설위원 dcpark@seoul.co.kr
2010-11-2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