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사지(死地)/박대출 논설위원

[씨줄날줄] 사지(死地)/박대출 논설위원

입력 2011-03-29 00:00
업데이트 2011-03-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92년 14대 대선 후. 김대중(DJ) 후보는 정계를 은퇴했다. 3년 만에 뒤집고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했다. 정계 복귀의 첫 시험대는 1996년 4·11 총선. 그는 배수의 진을 쳤다. 비례대표 후보로 나섰다. 순번은 14번. 당락의 경계선이었다. 또 고배를 마셨다. 13번까지 당선됐다. 국민회의는 사당(私黨)이나 다름없었다. 그럼에도 사지(死地)에 뛰어들었다. 1년 뒤 대권을 거머쥐었다.

1998년 서울 종로 보궐선거. 노무현 국민회의 후보는 당선됐다. 2년 전의 패배를 설욕했다. 4·13 총선에서는 실패를 다시 맛본다. 부산 사하을에서 낙선했다. 사지(死地)로 들어갔다. 2년 뒤엔 대선 승리를 따냈다.

4·27 재·보선전이 뜨겁다. 눈치 작전은 그에 정비례하고 있다. 민주당은 사지론(死地論)으로 시끄럽다. 손학규 대표에게 쏠리는 공방이다. 비주류는 경기 분당을에 출마하라고 압박한다. 한나라당 텃밭이다. 손 대표는 가타부타 말이 없다. 측근들만 입을 대신하는 모양새다. 특보단 간사인 신학용 의원은 불가론(不可論)을 편다. 당 대표를 사지로 내몬다고 반발한다. 이젠 김부겸 의원은 “사지에 내몰리는 분위기가 아니다.”고 한다. 분당을이 사지에서 벗어났다는 분석으로 비쳐진다.

그 분위기의 진원지는 한나라당이다. 유력 후보들이 상처를 입었다. 정운찬 전 총리는 신정아 파문에 주춤해졌다. 강재섭 전 대표는 박계동 후보의 폭로전에 휩싸였다. 당 지도부의 자충수 탓이다. 거물들에 너무 기댔다. 그러더니 뒷감당을 못해 우왕좌왕한다. 손 대표 측의 변화는 이때부터 감지됐다. 출마 기류가 고조되고 있다. 7부 능선을 넘었다는 말이 나온다. 국민참여당 유시민 대표가 출마를 종용할 때와 다르다. 일관된 모습이 안 보인다.

지도부 희생론은 야당의 단골 메뉴다. 비주류는 늘 흔들어댄다. 야당 대표는 때론 정치적 자폭을 요구받는다.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때 역풍이 거셌다. 한나라당 최병렬 전 대표는 공천조차 받지 못했다. 민주당 조순형 대표는 대구 출마를 감행했다. 승산 없는 적지(敵地)에 뛰어들었다. 기적은 일어나지 않았다. 그는 낙선했다. 하지만 7선 의원으로 재기에 성공했다. 현역 의원 중 최다선이다.

손 대표는 이달 말 결론 내겠다고 했다. 어느 길을 갈지는 모른다. 직접 불섶에 뛰어들어도 좀 늦었다. 이미 식은 뒤에 뛰어드는 모양새다. 출마든, 불출마든 중요하지 않다. 계산하는 모습은 지도자에게 어울리지 않는다. ‘용꿈’을 꾼다면 더할 게다.

박대출 논설위원 dcpark@seoul.co.kr
2011-03-29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