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두 시의 데이트/이도운 논설위원

[씨줄날줄] 두 시의 데이트/이도운 논설위원

입력 2011-09-30 00:00
업데이트 2011-09-30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94년 기네스북은 라디오 단일 프로그램의 최장수 진행자로 DJ 김기덕의 이름을 등재한다. 1972년 MBC에 입사한 김기덕은 이듬해부터 ‘두 시의 데이트’라는 신설 음악 프로그램을 맡아 1995년까지 장장 22년 동안 7000회가 넘는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매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나가는 FM 방송을 통해 김기덕은 미국 등 외국 음악을 우리 음악팬들에게 체계적으로 소개하려 노력했다. 그는 1985년 9월 어느 날 흥분한 목소리로 “정말, 정말 훌륭한 노래가 나와서 여러분께 들려주고 싶다.”며 처음 가요를 틀었는데, 그것이 바로 ‘들국화’의 ‘그것만이 내 세상’이었다. 김기덕에 이어 두 시의 데이트를 맡은 DJ들은 당대의 인기 있는 가수 또는 개그맨이었다. 주병진(1995.4~1997.4)과 이문세(1997.4~2000.11), 윤도현(2000.11~2003.4), 윤종신(2003.4~2008.4), 박명수(2008.4~2010.10) 등이다. 작년 가을 박명수가 하차하면서 YB의 보컬리스트 윤도현이 다시 한번 두 시의 데이트 마이크를 잡게 됐다.

최근 두 시의 데이트가 DJ 교체 문제로 혼선을 겪고 있다. 현재 DJ인 윤도현이 지난 27일 MBC 라디오 측으로부터 돌연 하차를 통보받았다면서 불만을 제기한 것이다. 윤도현의 소속사인 다음기획은 “얼마 전 새 진행자로 내정된 분이 있으니 다른 프로그램으로 자리를 옮겨 DJ를 맡아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며 “흔히 말하는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상황이 바로 지금”이라고 주장했다. 소속사는 “이번 사태로 윤도현은 자존감에 깊은 상처를 받았다.”고 불만을 밝혔다. 논란이 확산되자 다음 DJ로 내정됐던 주병진은 “본의 아니게 피해를 받은 방송 관계자 분들께 미안한 마음”이라며 DJ직을 고사하는 상황이 됐다. 윤도현의 DJ 하차 이유에 대해서는 말들이 많다. 일부에서는 윤도현이나 게스트로 나오는 김어준의 ‘진보적’인 색채 때문이라는 정치적 해석을 내놓기도 한다. 그러나 MBC 측은 두 시의 데이트 청취율이 같은 시간대 SBS FM의 ‘두 시 탈출, 컬투쇼’에 계속 밀리기 때문에 주병진을 투입해 청취율을 높이려 했던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세월이 변하면 모든 것이 변한다. 두 시의 데이트도 마찬가지다. 팝송 대신 가요가, 그리고 노래 대신 ‘토크’가 중심이 됐다. 타이틀곡인 ‘에마뉘엘’도 디스코, 발라드, 록 등으로 계속 바뀌었다. 오후의 휴식처와 같았던 라디오 프로그램이 정치적, 상업적 논란에 빠진 것 또한 현재의 사회상을 투영하는 것 같다.

이도운 논설위원 dawn@seoul.co.kr

2011-09-30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