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마부작침(磨斧作針)/최용규 논설위원

[씨줄날줄] 마부작침(磨斧作針)/최용규 논설위원

입력 2011-11-30 00:00
업데이트 2011-11-30 01: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마부작침(磨斧作針). 끈기와 열정의 교훈을 이처럼 절묘하게 표현한 말이 또 있을까. 당나라 때 시성(詩聖) 두보와 함께 시선(詩仙)으로 불렸던 이백이 이 고사의 주인공이다. 이백이 냇가에서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들려는 노파를 보고 비웃자, 노파가 “중도에 그만두지 않으면 언젠가는 이 도끼로 바늘을 만들 수 있다.”고 말해 크게 깨달았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이백은 무엇보다 ‘중도에 그만두지 않으면’에 ‘필’(feel)이 꽂혔던 것 같다. 남송 때 축목이 지은 지리서 방여승람과 당서(唐書) 문예전에 적혀 있다. 뭐든지 꾸준히 하라는, 즉 노력을 강조한 말이다.

뜻이 좋다 보니 정치인이나 고위 공직자는 물론 경제인까지 애용하는 수사가 됐다. 이회창 의원은 지난해 3월 자유선진당 대표 수락연설을 통해 ‘마부작침의 심정’을 언급했다. 시기와 상황이 미묘하면 논란을 부를 수도 있다. 2008년 10월 검찰 60주년 행사에 참석한 김경한 당시 법무부 장관은 “마부작침이라는 말대로, 중도에 포기하지 않고 사안의 진상을 끝까지 밝히려는 자세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검찰 본연의 역할을 주문한 것이란 설명과 사정수사 확대 주문이라는 지적이 충돌했다. 경제인들이 새해 구상을 밝히는 신년사에도 등장한다. 이른바 사자성어 경영이다. 비슷한 말로 수적천석(水滴穿石)이 있다. 작은 물방울이라도 끊임없이 떨어지면 결국엔 돌에 구멍을 뚫는다는 뜻이다. 송나라 나대경의 학림옥로에 나오는 말로 ‘낙숫물이 댓돌을 뚫는다’는 우리나라 속담과 비슷하다.

금융감독원이 1999년 출범 이래 첫 고졸사원을 뽑았다. 학력 인플레이션을 극복하기 위한 금융권의 고졸 채용 바람에 금감원이 동참한 것이다. 수재들만 모인다는 금감원에 특성화고(옛 실업계고교) 출신 여학생 4명과 남학생 1명 등 5명이 ‘금고’(禁高)의 벽을 뚫었다. 그중 한 명인 전효희(18·안산디자인문화고)양의 좌우명이 마부작침이란다. 가정형편 때문에 주말에 식당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학교에 다니면서도 3년 내내 전교 1등을 놓치지 않았다고 한다. 전양의 꿈은 진행형이다. 제2, 제3의 마부작침이 있다. 국민은행 광화문지점 창구 텔러로 발령받은 김예은양. 내년 2월 대전여상을 졸업하는 만 17세 소녀다. 그녀는 금융권 최연소 지점장을 꿈꾸고 있다. 이달 산업은행 공채에 합격한 서울여상 김다솜(18)양의 꿈도 지점장이다. 꿈을 향한 끈기와 열정이 이들에게 더 큰 성취로 다가올 것이다.

최용규 논설위원 ykchoi@seoul.co.kr

2011-11-30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