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된장축구/임태순 논설위원

[씨줄날줄] 된장축구/임태순 논설위원

입력 2012-08-13 00:00
업데이트 2012-08-13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바둑에도 그 나라 국민들의 기질이 반영된다. 최근 국제 바둑계를 장악해 가고 있는 중국은 대륙적인 기질을 살려 두껍게 바둑을 두고 수싸움에 능해 판을 흔드는 능력이 뛰어나다. 반면 바둑 현대화에 앞장서며 1980년대 초까지만 해도 세계를 호령했던 바둑 선진국 일본은 모양을 강조하며 대체로 정해진 길을 가는 ‘정석’(定石)바둑을 추구한다. 정석은 수많은 실전을 통해 터득한 최선의 운석(運石)으로 안전하고 모범적이다. 매사에 모든 걸 메모하고 정형화하는 그네들의 국민성이 투영된 것이다. 정석바둑은 반면(盤面)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지만 상황 변화에 대응하는 능력은 떨어진다. 지난해 동일본 대지진 때 공무원들이 매뉴얼대로 움직이다 비난을 산 것이 이를 말해준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 바둑은 모양은 투박하지만 필요하면 빈삼각도 과감히 두는 실용적, 실전적 감각으로 198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일본과 중국을 압도했다. 어느 음식에 넣어도 맛이 나는 된장처럼 적응력과 임기응변 능력이 뛰어나니 우리 바둑을 ‘된장바둑’이라 할 만하다.

엊그제 우리나라 축구 대표팀이 영국 카디프에서 런던 올림픽 축구 동메달을 놓고 일본과 싸워 2대0의 통쾌한 승리를 거뒀다.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으로 두 나라 관계가 미묘해진 데다 전통의 라이벌전이어서 관심이 고조된 이날 경기에서 우리 선수들은 초반부터 강력한 태클로 일본 선수들을 압박해 승전보를 전했다. 축구 한·일전 역시 ‘된장축구’가 ‘정석축구’를 누른 것이라 할 수 있다. 한동안 우리나라에 눌리던 일본은 2002년 월드컵을 전후해 정교한 패스와 짜임새 있는 조직력의 깔끔한 정석축구로 변신, 한국을 위협해 왔다. 그러나 이날 한국이 초반 압박전술로 몰아붙이자 교본에 없는 상황에 직면한 교과서 축구는 해법을 찾지 못하고 무너졌다. 톱니바퀴처럼 돌아가던 패스는 강한 몸싸움에 끊겨 공격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반면 우리 선수들은 거칠고 투박한 패스로 경기 흐름을 우리 페이스로 돌려 승리를 낚아챘다. 일본에 질 수 없다는 정신력과 투혼도 승리에 한몫했다.

그러나 실전적이고 투박한 된장축구가 항상 승리를 불러오는 것은 아니다. 국내에서 독학으로 바둑을 배워 된장바둑의 원조로 불리는 서봉수 9단은 “바둑도 인생도 정석은 없다. 여자 후배 기사에게도 기회만 나면 배우려 했다.”고 말했다. 필요하면 된장축구에도 정석축구를 접목해야 한다. 오늘의 승리에 만족하지 말고 부족한 것을 보완해야 한다.

임태순 논설위원 stslim@seoul.co.kr

2012-08-13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