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정제된 대선공약이 필요하다/김학준 사회2부 차장

[오늘의 눈] 정제된 대선공약이 필요하다/김학준 사회2부 차장

입력 2012-08-22 00:00
업데이트 2012-08-22 0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잇따라 인천을 찾은 대선 주자들은 너나없이 인천아시안게임과 시 재정난 해소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꼬일 대로 꼬인 문제에 쾌도난마 식의 답을 하는 것을 보면 복안이라도 있는 듯하다.

이미지 확대
김학준 메트로부 차장급
김학준 메트로부 차장급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후보들의 답변이 너무 시원한 게 오히려 믿음을 주지 못한다. 인천의 현안은 싱크탱크인 인천발전연구원조차 해법을 찾지 못할 정도로 복잡하다. 그런데도 후보들은 대통령이 되면 쉽게 해결할 수 있을 것처럼 말한다. 인천뿐만이 아니다. 후보들은 가는 곳마다 현안을 꿰뚫고 있는 것처럼 자신을 포장하고, 립서비스를 아끼지 않는다. 문제 해결에 대선 국면을 이용하려는 지자체나, 지역의 표심을 얻으려는 후보나 어차피 수순은 정해져 있는 것 같다.

후보들은 각종 토론회에서도 복잡한 정책을 거침없이 발표하고 있다. 때로는 기자들조차 알아들을 수 없는 전문적인 분야까지 거론된다. 물론 대통령에 꿈을 둔 뒤부터는 공부를 세게 했겠지만, 본질에 어긋나는 답변을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대통령이 되려는 사람은 당연히 국가적 비전과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 그러나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고 미묘한 사안까지 구체적·단정적으로 말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외교안보나 경제 같은 분야는 전문가들조차도 함부로 얘기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김두관 후보는 첫 토론회에서 한 패널의 질문에 “좀 더 공부해서 나중에 답변드리겠다.”고 했다가 구설수에 올랐다. 하지만 사안에 대한 정확한 이해 없이 얼렁뚱땅 설명하는 것보다는 이러한 태도가 나을 수 있다. 대선 후보는 신이 아니다. 모든 영역을 알 수 없으며, 알 필요도 없다. 대통령이란 다양한 상황에서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는 종합능력을 시험하는 자리다. 세부적인 분야의 식견까지 검증받아야 할 이유는 없다.

당장 스포트라이트를 받기 위해 정제되지 않은 공약과 정책을 남발하는 것은 ‘공약’(空約)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중요한 것은 공약의 ‘외모’가 아니라 실천의지다.

kimhj@seoul.co.kr

2012-08-22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