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미래는 무엇으로 여는가/박건형 사회부 기자

[오늘의 눈] 미래는 무엇으로 여는가/박건형 사회부 기자

입력 2013-03-01 00:00
수정 2013-03-01 00: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박건형 사회부 기자
박건형 사회부 기자
유리 밀너. 51세. 러시아인. 벤처투자가. 1억 달러짜리 미국 최고가 개인 주택 소유자. 1980년대 중반 밀너는 모스크바국립대 물리학 박사과정을 중퇴했다. 자신이 노벨상을 탈 그릇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대신 미국으로 건너가 펜실베이니아 와튼스쿨의 첫 러시아인 졸업자가 됐다.

모스크바의 암거래 시장에서 고물 컴퓨터를 팔며 돈을 모은 밀너는 2000년대 초반 러시아에서 인기를 끌던 석유와 가스 대신 정보통신(IT)에 투자했다. 수익성이 없는 사업이었지만 밀너는 학교 선배이자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안드레이 사하로프의 유명한 질문 ‘10년 후 과학은 얼마나 발전할까’를 끊임없이 되뇌었다. 밀너에게는 ‘인터넷이 바꿀 미래’에 대한 확신이 있었고, 그 미래에 투자했다. 외부 투자를 꺼리던 마크 저커버그를 만나 설득해 페이스북 최대 투자자가 됐다.

트위터, 그루폰, 징거 등 세계적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업체들의 주요 주주 명단에도 이름을 올렸다. 그가 투자했다는 사실이 IT 업계에서는 성공의 보증수표가 될 정도다.

억만장자 밀너가 엉뚱한 길을 걷기 시작했다. 지난달 20일 ‘생명과학 진보상’을 만들어 11명의 과학자들에게 300만 달러씩을 줬다. 지난여름에는 ‘기초물리학상’을 만들어 9명에게 각각 300만 달러의 상금을 주기도 했다. 이들 중 대부분은 밀너를 만난 것은 물론 이름조차 들어본 적이 없었다. 매년 시상할 두 상의 선정기준은 ‘실패 위험이 높으며, 삶을 바꿀 수 있는 연구’다. 한때 노벨상을 꿈꿨던 밀너가 노벨상과 같은 목표를 가진 상을 스스로 만들어 아낌없이 돈을 쓰고 있는 셈이다. 300만 달러의 상금은 노벨상 상금(800만 크로네)의 두 배가 넘고, 공동수상의 경우 상금을 나누는 노벨상과 달리 개개인마다 300만 달러를 보장한다. 지금까지 어떤 과학상도 이만한 상금을 주지는 않았다. 구글 창업자 세르게이 브린, 브린의 부인이자 유전자 검사업체인 ‘23앤드미’의 공동창업자 앤 워지키, 저커버그와 부인 프리실라 챈이 밀너와 뜻을 같이하고 있다.

미래의 가치를 IT에서 추구해온 밀너의 종착점이 기초과학이라는 것은 온통 IT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새 정부의 미래창조과학부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좀 더 빠른 인터넷을 설치하고, 새 기능을 가진 휴대전화를 만들면 당장의 수익과 일자리가 보장된다. IT가 곧 성장동력을 의미하는 것처럼 받아들이는 사람도 많다.

하지만 10년 후에도 인터넷과 휴대전화에만 매달려 있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현재 이미 있는 가치를 조합하고 오늘의 산업을 더욱 크게 육성하는 것만으로 ‘창조경제’와 ‘미래한국의 먹거리’가 오지는 않는다. 현재의 IT도 시작은 굴리엘모 마르코니와 에이다 러브레이스, 그레이엄 벨의 기초연구였다.

미래부의 핵심 가치가 IT가 아니라 기초과학이어야 하는 이유다. 기업은 위험하고 실패할 가능성이 높은 사업에 투자하지 않지만, 국가는 달라야 한다. 미래를 보장하는 것이 IT 자체라는 착각에 빠지면 곤란하다.

kitsch@seoul.co.kr

2013-03-0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