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 칼럼] SNS와 비교심리/나은영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옴부즈맨 칼럼] SNS와 비교심리/나은영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입력 2012-11-28 00:00
업데이트 2012-11-28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나은영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나은영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와 같은 SNS(사회적 연결망 서비스)는 장점에 비해 단점은 그리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런 의미에서 서울신문 11월 19일 자 8면의 “페북 ‘좋아요’에 멍드는 사람들”이란 기사는 흥미를 끌었다.

많은 사람들과 쉽게 연결될 수 있고, 시공간 제약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사람과 쉽게 소통할 수 있는 상황이 오히려 역설적으로 사람을 더 외롭게 만드는 이유는 무엇일까? 기사의 그래프에 나와 있듯이, ‘관계의 가벼움에 대한 회의’와 ‘상대적 박탈감’ 그리고 ‘가식적 표현 충동’ 등이 페이스북 중(重)이용자의 대표적인 심리적 문제의식이다.

본인이 잘하고 있는 것인지, 본인의 의견이 옳은 것인지에 대해 다른 사람과 비교해 보려는 심리를 사회심리학자 페스팅거는 ‘사회비교’(social comparison) 심리라 하여, 사람이면 누구나 지니고 있는 기본적인 심리로 보았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젊은 층이나 한국인에 국한된 심리는 아니다.

다만, 다른 사람의 능력이나 의견에 대한 정보를 알고 싶어도 쉽게 알 수 없었던 예전에 비해 서로 경쟁적으로 자기가 어떻게 하고 있으며 어떤 의견을 가지고 있는지 온갖 SNS를 통해 알릴 수 있는 요즘의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시대는 다른 사람들에 대한 정보가 필요 이상으로 많은 이른바 ‘정보과잉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정보과잉 시대의 단점 중 하나는 ‘사실확인’을 포함하여 정보 하나하나를 깊이 생각해 볼 겨를이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누군가 자기 과시나 홍보를 위해 올린 글도 마치 그 사람의 진짜 모습인 것처럼 쉽게 받아들인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연출된’ 타인의 모습에 지나치게 민감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물론 페이스북을 비롯한 SNS에 연출된 모습만 있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렇지만 만인에게 공개되는 SNS에는 본질적으로 자신의 ‘좋은’ 모습만 보이고 싶어하고, 조금이라도 더 멋있게 감동적으로 보일 수 있는 수단을 찾게 된다.

올해 실시한 필자의 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5개 지역의 20~49세 페이스북 이용자 851명의 평균 페이스북 친구 수는 331명, 오프라인 친구 수는 24명으로 나타났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오프라인 친구 수는 많을수록 정보통제성·자기효능감뿐만 아니라 일반 신뢰가 증가한 반면, 페이스북 친구 수는 오히려 적을수록 정보통제성과 자기효능감이 크고 그에 따라 온라인 신뢰도 높게 나타났다는 사실이다.

페이스북 친구 수가 지나치게 많으면 그만큼 본인의 통제성과 효능감은 떨어지고, 이것이 온라인 신뢰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오프라인에서의 소규모의 강한 연대가 온라인에서의 대규모의 약한 연대보다 심리적 관계의 의미를 더 긍정적으로 지각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SNS는 도구일 뿐이다. 결국 중요한 것은 ‘보이는’ 모습보다 ‘실제’ 모습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NS는 마치 ‘보이는’ 것이 ‘실제’인 것처럼 믿게 만든다. 기계가 사람을 대체할 수 없듯이, SNS를 통해 연출된 소통이 직접 마주 앉아 호흡을 함께하며 눈빛을 교환하는 마음 깊은 소통을 능가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 기사에서 한 가지 보완할 점이 있다면, 어떤 기사에 전문가의 반응을 싣고자 할 때 섭외를 시도하는 전문가의 ‘세부적인’ 전공영역이 해당 기사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겠다. 그렇게 한다면, 전공자가 아니라도 누구나 이야기할 수 있는 일반적인 멘트보다는 좀 더 깊이 있는 분석 멘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두세 편의 서로 다른 기사 내용에 동일한 전문가가 멘트를 한다면, 그만큼 해당 기사와 관련된 세부적인 전문성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기자가 쉽게 접촉할 수 있는 몇 명의 전문가에게 의지하기보다 해당 기사와 핵심적 관련이 있는 전문가들을 좀 더 다양하게 접촉할 필요가 있다.

2012-11-28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