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감 후] 지지율과 총선의 상관관계/이민영 정치부 차장

[마감 후] 지지율과 총선의 상관관계/이민영 정치부 차장

이민영 기자
이민영 기자
입력 2023-03-15 02:06
업데이트 2023-03-15 02: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민영 정치부 차장
이민영 정치부 차장
“당원 동지 여러분과 한 몸이 돼 민생을 살려 내 내년 총선 승리를 반드시 이끌겠다. 하나로 똘똘 뭉쳐 내년 총선 압승을 이루자.”

여의도의 총선 시계는 바깥세상보다 빠르다. 22대 총선은 1년 넘게 남았는데 국회는 벌써 총선 이야기로 한창이다. 지난 8일 전당대회에서 당대표로 선출된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첫날부터 하루도 빼놓지 않고 총선 승리를 강조했다. 수락 연설, 최고위원회의, 의원총회 등 곳곳에서 총선 압승을 말한다. 김 대표뿐만 아니다. 국회의원, 보좌관, 당직자 등과 사석에서 만나도 ‘총선’이 최대 화두다. 국민의힘은 총선에서 과반 의석을 확보해야만 진정한 정권 교체를 이룬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입에서는 총선이란 단어가 잘 나오지 않는다. 그러나 민주당도 비명(비이재명)계 의원을 중심으로 ‘이재명 체제로는 총선을 치르기 어렵다’는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 대표의 체포동의안이 가까스로 부결되면서 이런 목소리는 부쩍 커지는 모양새다.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가 ‘총선 리스크’로 번질까 우려하는 것이다. 지난 총선에서 대승했던 민주당 의원들의 노파심을 이해 못 할 것은 아니다.

총선을 1년여 앞둔 여야의 현재 상황에 대한 판단은 간단하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대표 덕분에 우리가 이긴다’,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 때문에 우리가 불안하다’로 종합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은 국민 역시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

한국갤럽이 지난 8~9일 만 18세 이상의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정당 지지도는 국민의힘이 38%, 민주당이 32%로 집계됐다. 민주당은 직전 조사에서 29%였다. 현재 지지율 스코어만 봐서는 국민의힘이 내년 총선에서 유리해 보인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

20대, 21대 총선 당시의 지지율을 따져 보면 답이 나온다. 21대 총선 직전인 2020년 4월 3주차 한국갤럽이 조사한 정당 지지율은 민주당이 41%, 미래통합당이 25%였다. 선거에서 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이 얻은 의석은 위성정당을 포함하면 180석 대 103석이었다. 지지율이 거의 비슷한 비율로 의석으로 옮겨 간 것이다. 총선 1년 전 지지율도 민주당이 38%, 자유한국당이 21%로 차이가 없었다.

20대 총선 직전인 2016년 4월 2주차 한국갤럽 조사에서는 새누리당 37%, 민주당 20%, 국민의당 17%였다. 실제 선거 결과는 달랐다. 민주당 123석, 새누리당 122석, 국민의당 38석으로 16년 만에 여소야대 국회가 됐다. 1년 전 지지율도 새누리당 40%, 민주당 25%로 비슷했다.

20대 총선과 21대 총선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대통령 지지율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직무수행 긍정률은 39%로 하락세였다. 반면 문재인 전 대통령은 59%로 상승세였다. 1년 전인 45%에서 크게 상승한 수치였다.

결국 내년 총선을 좌우하는 요인은 이 대표가 아니라 윤석열 대통령이다. 대통령 중간평가의 성격을 갖는 총선에서 이 대표에 대한 평가는 정당 지지율에 반영될 뿐이다. 집권 여당 혹은 거대 야당의 총선 성적표는 윤 대통령의 지지율에 달려 있다. 현재 윤 대통령의 직무수행 긍정률은 34% 수준에 불과하다.
이민영 정치부 차장
2023-03-15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