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필원 한남대 건축학과 교수
그런데 우리 역사도시를 잘 살펴보면 아름다운 자연 못지않게 즐거움을 주는 공간이 있다. 오랜 시간을 두고 사람들이 모여 살면서 가꾸어 온 주거지가 바로 그런 곳이다. 그곳에는 자연 지형과 오래된 나무들, 때로는 작은 숲이 살아 있다. 그리고 사람들이 모여 살며 공동체를 유지하고 있다. 이렇게 자연과 함께 사람들이 어울려 사는 곳을 마을이라 부른다. 도시 안에 있는 마을, 곧 도시마을은 인간이 자연 조건을 잘 이용해 만든 또 하나의 자연이다.
사회생태학을 개척한 머리 북친은 도시마을과 같이 인간화된 혹은 사회화된 자연을 스스로 존재하는 1차 자연과 구분해 2차 자연이라고 불렀다. 도시에서는 1차 자연은 물론 2차 자연도 거주의 중요한 조건이며 매력이다.
아직도 서울, 전주, 안동 등 여러 도시에 마을들이 남아 있지만 많은 도시에서 그것들은 급속히 사라지고 있다. 한옥 혹은 재래 주택들이 양옥이나 일식 주택들과 함께 시민들의 공동체적·친환경적 삶터이자 특색 있는 도시 풍경을 이루던 많은 도시마을들이 지난 세기 말부터 아파트 단지로 재개발돼 송두리째 사라졌다.
최근에는 이런 개발의 소용돌이를 피해 살아남은 마을들이 졸지에 철거되는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 그 이유는 문화재 주변을 발굴하고 복원하기 때문이다. 시민들의 기억이 새겨진 마을의 골목과 집들이 그들이 한 번 본 적도 없는 먼 과거의 유산을 복원한다는 명분에 희생되고 있는 것이다. 천년 고도 나주의 중심부에서 도시마을들이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나주에서는 수년째 객사 주변으로 발굴을 확대하고 성문과 성벽을 복원하고 있다.
우리가 꿈꾸는 역사와 문화를 간직한 지속 가능한 도시는 재개발이나 문화재 복원이 아니라 도시마을을 되살려 가꾸어 나갈 때 비로소 현실이 될 수 있다. 시민들의 아련한 기억들이 새겨진 나무와 골목과 집들 없이 살 만한 도시, 살고 싶은 도시를 만들 수는 없다고 본다.
그럼 흐트러지고 왜곡되고 시들어 가는 도시마을을 재생하는 데 우선 필요한 일은 무엇일까.
그것은 점에서 시작하는 것이다. 선과 면을 먼저 생각하면 도시재생이 아니라 재개발이 되고 만다. 도시재생에서 점이란 새로운 기운의 출발점이자 그것을 선으로 또 면으로 확산시킬 잠재력을 가진 거점을 말한다.
도시마을 고유의 필지 패턴과 길 체계를 유지하면서 마을 공간을 활기찬 삶터로 되살리는 거점을 만드는 데 적합한 건축은 무엇일까. 필자는 한옥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이 우리 도시의 공간 조직과 함께 발전해 왔기 때문이다.
지금 전국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도시재생 사업에서 꼭 필요한 일은 마을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고 그것을 도시와 연결시킴으로써 도시마을 재생의 거점 역할을 할 한옥을 짓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에게 익숙한 전통 한옥이 새로운 시대의 그런 요구를 충족하기는 어렵다고 본다.
도시마을 재생의 기준이 되고 장차 도시마을 건축의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려면 혁신적이어야 한다. 가로와 골목, 필지로 구성되는 도시 조직을 유지시키는 힘과 함께 도시마을의 장소성과 정체성을 지속시키는 힘을 가진 혁신적인 한옥이 필요하다.
한옥에 대한 좋거나 나쁜 기억을 가진 중장년층만이 아니라 그것이 생소하기만 한 이삼십대의 젊은 세대들도 매력을 느낄 수 있는 한옥, 회색 도시에 개성을 입히고 도시풍경을 독특하고 재밌게 만들어 주는 한옥, 그런 혁신적인 한옥을 그려 본다.
2019-05-2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