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락 도쿄 특파원
한국과 일본 관계 전문가들은 앞으로 몇년간은 양국 간 봄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단언한다. 매년 2월 22일 ‘다케시마(독도의 일본식 명칭)의 날’을 시작으로 3월 1일 삼일절, 3, 4월의 일본 교과서 검정 등이 숨가쁘게 이어지기 때문이다. 봄에 대한 아쉬움을 채 추스르기도 전에 외교청서, 방위백서 발표 등으로 올해 한·일 관계는 어느 때보다 험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한·일 관계에 봄을 기대할 수 없게 된 것은 최근 일본 사회의 변화와 무관하지 않다. 일본에서는 20여년에 걸친 장기 불황과 동일본 대지진,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해 불안감과 자신감 상실 등으로 우경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심리적으로 불안해 분출구를 찾는 일본인들이 내부의 적이 아닌 외부의 적, 즉 영토문제에 관심을 돌리고 있는 것도 어쩌면 당연한지 모른다. 지난해부터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와 독도 등 영토 분쟁이 극심해진 것도 이런 일본 사정과 맥을 같이한다.
이러한 우경화 대열에는 정치인들뿐만 아니라 언론들도 가세하는 양상이다. 지난달 22일 시마네현 마쓰에시에서 열린 ‘다케시마의 날’ 행사에는 38개 언론사 기자 129명이 몰렸다. 비교적 객관적인 시각과 차분한 논조를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진 NHK마저 뉴스 시간마다 이날의 행사를 톱 뉴스로 다루는 등 분위기를 띄우는 데 열을 올렸다.
하지만 ‘다케시마의 날’에 대해 일반 시민들은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정부와 시마네현, 언론이 억지로 분위기를 띄우고 있을 뿐이다. 실제로 이날 점심을 먹기 위해 마쓰에 역 앞에 있는 한 식당을 들렀을 때 이런 소동을 바라보는 대다수 시민들의 반응은 냉담했다. 한 시민은 “시마네현은 독도를 지리적으로 편입시켰을 뿐 아무런 관련이 없는데 지사가 시민들을 담보로 정치적인 행동에 몰두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독도와 가까운 오키섬에서 어업 활동을 벌이는 어부들은 대부분 돗토리현 사람들인데도 시마네현이 괜히 나서 손해만 보고 있다는 불만이다.
근본적인 문제는 한·일 관계가 감정적으로 흐르다 보니 좀처럼 돌파구를 찾을 수 없다는 점이다. 현재 한국에는 ‘일본통’이라 불리던 사람들이 사라진 상태고, 일본에도 한국을 잘 아는 정치인들이 없다. 한·일의원연맹 일본 측 회장인 누카가 후쿠시로 자민당 의원은 10선이지만 선수에 비해 당내 입지가 약하다. 한국 측 회장인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도 일본어를 거의 못해 일본 의원들과 속 깊은 얘기를 나누기에는 무리가 있다.
하지만 아무리 엄동설한이라 해도 겨울이 지나면 반드시 봄은 찾아 오는 법.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접국가인 한·일 간에는 좋든 싫든 함께 봄을 모색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역시 대화로 풀 수밖에 없다. 정치인뿐만 아니라 민간 차원에서도 꼬이고 있는 현안들을 풀 수 있는 다양한 대화 채널을 마련해야 할 때다.
jrlee@seoul.co.kr
2013-03-02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