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다 살다 이런 더위는 처음 본다” “올여름은 왜 이렇게 후덥지근해?” 어릴 적 어르신들이 그늘 아래 의자에 앉아 바지를 걷고 부채질을 하며 꽤나 하시던 말씀이다. 그래도 어린 시절 여름이라면 온몸이 땀으로 절어도 즐거움이 가득한 계절이었다.
그러나 올해는 달랐다. 그런 흥겨운 여름이 있었나 싶을 정도로 정말로 더운 여름이다. 111년 만의 폭염이라고 한다. 111년 만의 폭염이 아니라 하더라도 해마다 올여름은 더 덥다는 말들을 자주 듣게 된다. 그런데 앞으로는 이 말이 더 자주, 더 급박하게 들릴 것 같다. 그리고 이는 인간 활동의 복합적인 원인의 결과일 것이다.
알프스의 빙하는 지난 150년간 약 40%가 줄었고 2050년쯤엔 완전히 사라질 지경이다. 해수면은 같은 기간 약 25㎝가 상승했다.
최근 다국적 연구진은 암울하게도 향후 5년간 찜통더위가 계속되며 폭우·태풍·한랭·가뭄 등이 국지적으로 나타나는 극심한 기후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이런 변화는 올해 티베트 지방에 고기압이 오래 머물면서 아시아 지역이 폭염에 휩싸인 현상처럼 대기 상층부의 교착상태가 빈번히 일어나기 때문에 벌어진다. 온실가스가 현재의 기후변화에 매우 중요한 원인인 것은 틀림없다. 하지만 21세기의 기후변화는 그것에 의한 문제만은 아니라는 진단이 나오면서 온실가스 감축만으로 최근의 기후변화를 막을 수 없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1987년 정부간기후변화패널(IPCC)이 만들어지고 30년 만에 기후변화의 판이 바뀌어 ‘호미로 막을 것을 이젠 가래가 아니라 쟁기, 삽, 낫 가릴 것 없이 다 동원해도 모자랄 판’이 됐다.
화석상 증거를 통해 알아본 최신 연구에 의하면 에너지를 많이 쓰는 종들이 더 빨리 멸종한다고 한다. 우리 인간은 어떤가.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1인당 연간 에너지 소비량은 원유로 환산해 약 2t(1920㎏)에 달한다. 인류 전체를 따지면 가공할 만한 양이다. 우리가 쓰는 에너지의 상당량은 지구의 건전한 순환고리를 끊어 온실가스 증가 등 악화된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다. 앞서 말한 멸종한 화석 생물과 우리네 인간이 다른 점은 우리는 자신뿐 아니라 다른 생물도 멸종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하나뿐인 지구는 우리 인간에게만 물려주는 것이 아니다.
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알프스의 빙하는 지난 150년간 약 40%가 줄었고 2050년쯤엔 완전히 사라질 지경이다. 해수면은 같은 기간 약 25㎝가 상승했다.
최근 다국적 연구진은 암울하게도 향후 5년간 찜통더위가 계속되며 폭우·태풍·한랭·가뭄 등이 국지적으로 나타나는 극심한 기후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이런 변화는 올해 티베트 지방에 고기압이 오래 머물면서 아시아 지역이 폭염에 휩싸인 현상처럼 대기 상층부의 교착상태가 빈번히 일어나기 때문에 벌어진다. 온실가스가 현재의 기후변화에 매우 중요한 원인인 것은 틀림없다. 하지만 21세기의 기후변화는 그것에 의한 문제만은 아니라는 진단이 나오면서 온실가스 감축만으로 최근의 기후변화를 막을 수 없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1987년 정부간기후변화패널(IPCC)이 만들어지고 30년 만에 기후변화의 판이 바뀌어 ‘호미로 막을 것을 이젠 가래가 아니라 쟁기, 삽, 낫 가릴 것 없이 다 동원해도 모자랄 판’이 됐다.
화석상 증거를 통해 알아본 최신 연구에 의하면 에너지를 많이 쓰는 종들이 더 빨리 멸종한다고 한다. 우리 인간은 어떤가.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1인당 연간 에너지 소비량은 원유로 환산해 약 2t(1920㎏)에 달한다. 인류 전체를 따지면 가공할 만한 양이다. 우리가 쓰는 에너지의 상당량은 지구의 건전한 순환고리를 끊어 온실가스 증가 등 악화된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다. 앞서 말한 멸종한 화석 생물과 우리네 인간이 다른 점은 우리는 자신뿐 아니라 다른 생물도 멸종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하나뿐인 지구는 우리 인간에게만 물려주는 것이 아니다.
2018-09-0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