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빛 발견] 두음법칙/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두음법칙/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8-04-18 20:48
업데이트 2018-04-18 2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로인’보다 ‘노인’, ‘력사’보다 ‘역사’, ‘녀자’보다 ‘여자’가 익숙하고 발음하기도 편하다. 단어 첫머리에 ‘ㄹ’이나 ‘ㄴ’ 대신 ‘ㅇ’이 오는 게 편리한 것이다. 우리말이 본래 ‘ㄴ’과 ‘ㄹ’이 첫머리에 오는 걸 꺼리는 현상이 있다고 한다. 그래서 두음법칙이 생겼다는 것이다.

이런 현실은 맞춤법에도 그대로 반영돼 있다. 그런데 두음법칙은 맞춤법의 ‘어법에 맞도록’ 원칙과는 엇나간다. 어법이 아니라 ‘소리대로’ 적는 것이 된다. 어법대로라면 본래 형태대로 적는 것이어야 한다. 하나의 말에 두 가지 원칙이 적용되는 것이다. 첫소리일 때는 ‘노’가 되고, 그렇지 않을 때는 본래 음대로 ‘로’가 된다.

두음법칙은 쉽지 않을 때도 있다. ‘구름양’이고, ‘열량’이 된다. ‘구름’처럼 순우리말 뒤에서는 두음법칙이 적용되지만, ‘열’처럼 한자어 뒤에서는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외래어 뒤에서도 마찬가지여서 ‘칼슘양’이 된다.

‘라면’, ‘뉴스’처럼 외래어에서는 두음법칙이 비켜간다. 이 말들은 발음을 하는 데도 무리가 가지 않는다. 외래어가 많이 들어오면서 생긴 현상이다. 고유어에도 두음법칙은 해당되지 않는다. 성씨도 ‘류’, ‘림’, ‘라’로 적을 수 있다. 북녘에서는 원칙적으로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다. 한 글자는 하나의 표기여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남북의 맞춤법 논의에서 가장 풀기 어려운 내용이다.
2018-04-19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