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빛 발견] 위치하다/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위치하다/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8-09-05 21:50
업데이트 2018-09-05 22: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위치하다’는 글말에 가깝다.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쓰임새가 드물고 주로 글에서 쓰인다. “제주도는 남쪽에 있어”가 글로 옮겨질 때는 ‘한라산은 남쪽에 위치한다’가 된다. 어색함은 잊어버린다. 다분히 의식적이다.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글은 말보다 좀더 무거워야 한다고 여긴다. 이왕이면 격식과 운치도 있으면 좋다고 아무 때나 생각한다. 여기에 ‘관행’, ‘습관’이란 ‘원칙’이 작동한다.

태풍 ‘제비’가 일본 간사이공항을 덮쳤다. 이 소식을 전하는 문장들에서도 ‘위치하다’가 익숙하게 왔다. “간사이공항은 인공섬에 위치한 공항”, “바다에 위치한 간사이공항”처럼 나타났다. 커서 잘 맞지 않는 옷처럼 보인다. 입말에서처럼 “인공섬(바다)에 ‘있는’ 간사이공항”이 더 잘 어울리고 편해 보인다.

더 나간 것들도 있다. ‘위치하다’와 ‘있다’를 같이 쓴다. “건물은 시내 중심가에 위치하고 있다”, “복숭아뼈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인대”라고도 한다. 여기저기 흔하다. 낡고 형식적이고 군더더기처럼 비친다. 일상의 말이 더 쉽고 편하게 소통된다.

2018-09-06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