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빛 발견] 한글이 주는 가치/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한글이 주는 가치/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8-10-03 20:46
업데이트 2018-10-03 22: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황해도 곡산에 사는 여성 약노가 주문을 외워 사람을 죽였다는 보고서가 올라왔다. 황당하다고 여긴 세종은 사건을 재조사하라고 했다. 모진 고문에 못 이긴 약노의 거짓 자백이었다. 약노는 억울함을 알리려 해도 방도를 몰랐다고 했다. 세종은 억울한 일들이 알지 못하는 데서 비롯한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는 새 글자를 만들었다. 당시 조선은 명나라와의 관계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한자에서 벗어난다는 건 꿈도 꿀 수 없는 일이었다. 더욱이 사대부들에게 한자는 권력을 유지하는 도구이기도 했다. 세종은 한글을 만들어 이 권력을 모두에게 나누어 줬다. 한글은 민주주의의 토대가 됐다.

2000년 영국의 역사학자 존 맨은 저서 ‘알파 베타’에서 “한글은 모든 언어가 꿈꾸는 최고 알파벳”이라고 했다. 한글에 보내는 최고의 찬사다. 한글의 가치는 이 찬사에 있지 않다. 한글에는 더 쉽고 낮은 말들이어야 한다는 뜻이 있다. 공문서들은 아직 어렵고 낯설다. 전문용어는 일상과 멀어져 간다. 기업의 언어들도 그렇다.

2018-10-04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