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빛 발견] 공공언어/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공공언어/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8-12-26 20:38
업데이트 2018-12-27 02: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언어들만 공공언어가 아니다. 신문과 방송은 물론 기업들의 언어도 공공언어다. 공공언어로서 지켜야 할 사회적 책임이 있다. 제품 사용 설명서, 은행이나 보험의 약관들은 누구나 알 수 있어야 하고, 정확하며 공정해야 한다.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어문팀장
그러나 사용 설명서들에는 아직 암호문 같은 것들이 널려 있다. 낡아서 거부감을 주거나 일상의 쓰임과 거리가 먼 말들이 도처에 있다. ‘바꾼다’를 ‘절환한다’고 하고, ‘꽂다’ 대신 ‘거치하다’를 사용하기도 한다. ‘교육하다’는 굳이 ‘교육을 실시하다’라고 할 때가 많다.

‘국민의 처지에서 표현하기’, ‘외국어를 남용하지 않는다’, ‘명료한 문장 쓰기’(문체부 ‘쉬운 공공언어 쓰기 원칙’ 중)

‘우리의 독자는 누구인가’, ‘우리의 독자는 무엇을 알아야 하는가’, ‘독자를 위한 최상의 소득은 무엇인가’(미국 ‘연방 쉬운 언어 지침’ 중)

우리의 공공언어들은 독자를 얼마나 배려하고 있는가. 국민의 눈높이에 얼마나 맞추려 하고 있는가. 돌아보고 비춰 볼 일이다.

2018-12-27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