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규관의 고동소리] 기후변화와 언어

[황규관의 고동소리] 기후변화와 언어

입력 2018-09-12 22:34
수정 2018-09-13 00: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여름은 지나치게 더웠다. 작년에 이미 혼이 난 터라 가족에게 올해에는 에어컨을 마련해주겠다고 큰소리를 쳤지만, 그게 그만 지켜지지 않았다. 어릴 적의 여름은 여러 개의 이미지가 기억의 단층을 이루고 있다. 일단 여름의 초입은 장맛비로 말미암은 ‘물난리’이다. 붉은 황토물이 내와 강을 넘실대다 못해 범람해 들판을 삼키고 아랫마을이 침수되기도 했다. 장마가 끝나 황토물이 빠지면 강물은 치렁치렁해져 우리 같은 깨복쟁이들의 놀이터가 되었다. 그리고 느닷없는 소나기와 으르렁대는 천둥과 ‘뇌신’(雷神). 군대를 막 제대한 동네 형이 강둑에서 번개에 맞아 사망해 동네가 한동안 슬픔에 잠긴 일도 있었다.
이미지 확대
황규관 시인
황규관 시인
그러나 이런 기억들은 이제 한낱 부스러기가 되어 아스라할 뿐 현재의 여름은 그 더위 자체만으로도 많은 사람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 올여름이 얼마나 더웠는지를 복기하기 위한 수치와 수사를 동원하는 일은 굳이 필요치 않을 것 같다. 심지어 태풍이 우리의 상공을 뒤덮고 있던 뜨거운 고기압을 이기지 못하고 배회하다 비실비실 사라진 일도 있잖은가.

이른바 기후변화가 이제 본격적으로 진행될 것이라는 기상학자들의 예견이 있고, 이렇게 지속적으로 온도가 올라가면 20년 안에 고등생물이 절멸한다는 다소 파국적인 경고를 하는 과학자도 있다.

기후변화의 근본적인 원인이 자본주의 근대문명에 있다는 진단은 매우 신빙성이 있다. 자본주의 산업 시설과 생활이 뿜어내는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가 구체적 원인이라는 사실은 많은 과학자가 공통적으로 주장하고 있는 바이다. 반대로 인간 등 동물계의 생명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는 나무의 입지는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나무에 대한 그릇된 인식이 꽤 넓게 퍼져 있는 오늘날, 장소를 가리지 않고 벌어지고 있는 개발 현장에서 산이 뭉개지고 나무가 뿌리째 뽑히는 일은 흔한 현상이 되었다.

정부가 기후변화에 대해 내놓은 정책이랄까 방책은, 거의 눈 가리고 아웅 하는 식이다. 혹자들은 지구적 현상에 대한민국이라는 한 나라가 무슨 힘이 있겠느냐고 하겠지만, 나는 이런 인식들이 모여서 결국 지금의 사태를 초래했다고 본다. 올여름 내내 내 귀에 들린 것은 에어컨과 전기료 타령뿐이었다. 이에 대해 세세하게 따지는 것은 내가 가진 달란트를 넘어서는 일이기도 하고 이 자리에서는 여러모로 무리가 있다. 다만 내가 요즘 골똘히 생각 중인 것은, 지구의 기후변화와 우리의 내면 간의 관계이다. 더 정확히 말하면 엄혹한 현실과 인간의 자아는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가, 하는 것이다.

그것을 입증할 구체적인 사례와 데이터가 내게는 없다. 다만 일상생활이나 소셜미디어, 그리고 가끔 찾아 읽는 문학작품을 통해 그것의 일단을 가만히 더듬어봤을 때, 인간의 자아 또는 언어가 세계의 타락에 일조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든다. 시인 김수영은 언어는 민중의 생활 현실에서 생성된다고 했다. 다시 말하면 언어 자체가 역사적 산물이란 뜻이다. 그런데 우리가 쓰는 언어가 역으로 삶의 양태를 변화시킨다는 명제도 가능한 세상에 우리는 살고 있다. 이런 역설 앞에서 우리는 여러 가지로 난감하지만, 언어에는 세계를 변화시킬 역량이 아직은 존재한다는 뜻도 된다.

만물은 물, 불, 흙, 공기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한 이는 고대 시칠리아 태생의 철학자 엠페도클레스였다. 그의 주장은 훗날 정교하게 분석적인 언어들에 의해 까마득히 잊히고 말았지만, 결국 물, 불, 흙, 공기를 망가뜨린 대가를 우리는 톡톡히 치르고 있다. 철학적으로는 모르겠지만, 삶의 윤리 차원에서 엠페도클레스의 자연철학은 옳았다. 오늘날 시인들은 ‘깊은’ 자연을 노래하지 않는다. 도리어 자연을 배척함으로써 현대성을 얻고자 한다. 그러나 그것은 우리의 삶이 대부분 ‘균질적인’ 근대 도시 공간에서 꾸려지고 있다는 사실을 은폐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폭염과 폭우가 반복되는 동안에 우리의 언어는 우리가 사는 도시의 바깥으로 또는 심연으로 향해야 했다. 그랬을 때만이 언어는 생명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2018-09-1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