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우면산 복구 지연 유감/류찬희 정책뉴스 부장

[데스크 시각] 우면산 복구 지연 유감/류찬희 정책뉴스 부장

입력 2012-06-15 00:00
업데이트 2012-06-15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랜 가뭄으로 대지가 타들어 가고 있지만, 올여름 집중호우 걱정에 떨고 있는 사람들도 많다. 지난해 집중호우로 16명이 목숨을 잃는 끔찍한 피해를 당한 서울 서초구 방배동 우면산 아래 주민들이 그들이다. 주민들은 이달 하순부터 전국에 장마가 시작되고, 잦은 물폭탄을 몰고 올 것이라는 예보가 여간 신경이 쓰이지 않는다. 주민들이 걱정하는 데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다. 복구공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방재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우면산 복구공사의 문제점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이미지 확대
류찬희 경제정책부 선임기자
류찬희 경제정책부 선임기자
우선 산사태의 정확한 원인 분석과 설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을 꼽는다. 긴급공사라는 이유로 전문가들의 평가를 제대로 받았는지 의문이다. 이마저도 공사가 지연돼 올여름 집중호우에 버틸 수 있을지 걱정이다. 우면산 산사태는 단순 지반 붕괴와 다르다. 토양은 서로 붙어 떨어지지 않으려는 성질(점성)을 갖고 있다. 점성은 수분을 머금으면 떨어지고 그로 인해 지반은 약해지기 마련이다. 아직 정확한 사고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집중호우로 흠뻑 머금은 물의 무게를 이기지 못한 산줄기가 일시에 미끄러지면서 일어난 사고라는 데는 모두 고개를 끄덕인다. 그렇다면 복구공사는 당연히 지반 강화에 맞춰져야 한다.

토목 전문가들은 지난해와 같은 수준의 집중호우를 예상했다면 공사를 진작 마쳤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수분을 서서히 머금으면서 지반이 다져져야 하는데 그럴 겨를이 없이 공사가 진행됐다는 것이다. 일리가 있는 지적이다. 수천년간 다져온 지반도 집중호우 앞에서는 맥없이 무너졌는데, 이리저리 파헤쳐진 현장의 지반이 안정을 찾기도 전에 폭우가 쏟아지면 또 산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게 이들 전문가의 지적이다. 지반이 불안정하다는 것은 토양 점성이 떨어진다는 의미다. 이런 곳에서는 수분을 조금만 흡수해도 쉽게 슬라이딩 현상이 일어난다.

지형을 무시한 공사라는 지적도 있다. 복구 공사 현장은 경사가 매우 가파르다. 폭이 수십미터에 이르는 곳도 있다. 사고 현장에서는 호박돌을 올려놓는 마무리 공사가 한창이다. 자연과 어울리지 않고 주변 생태를 외면해 흉측하지만 슬라이딩을 막으려면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호박돌 공사를 벌이는 계곡과 경사면의 지반이 충분히 다져지지 않은 게 걱정된다. 호박돌들이 경사지 슬라이딩에 그대로 노출돼 있는 것이다.

뿌리 깊은 나무가 없다는 것도 문제다. 사고가 일어난 현장은 수십년 된 나무들과 잡풀이 들어섰던 곳이다. 그런데도 꼼짝없이 무너져 떠내려갔다. 토목공사를 일찍 마치고 나무와 다년생 풀을 심었으면 이들이 뿌리를 내려 지반이 강화되고 슬라이딩 억제 효과도 기대할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현장은 이와 다르다. 우면산 복구공사는 산사태 방지 공사이지 공원조성 공사가 아니다.

계곡 중간중간 사방댐을 설치하는 것까지는 잘했지만, 배수로를 따라 산 아래에 모인 물을 배출하는 시설이 부족하다는 지적 또한 일리 있다. 계곡을 내려온 물이 몰려 병목현상이 나타날 경우 빗물은 바로 도로로 들이닥치게 돼 있다. 물이 땅속으로 잘 흡수되도록 돕는 깔때기 역할을 하는 곳이 있는지도 빠짐없이 살펴야 한다. 비슷한 산사태가 일어났던 춘천 마적산의 경우 유족들은 1차 원인으로 산 정상의 방공포 기지와 군사도로가 많은 물을 흡수해 일어났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울시가 이달 들어 우면산 산사태와 같은 대형 사고를 막기 위해 산지 사면을 관리하는 전담팀을 구성하겠다고 한다. 박원순 시장은 홍콩 산사태 방재시설을 둘러보고 서울시 정책에 적극 적용할 방안을 찾기로 했다. 사면 녹화기술 등 산사태 예방 시스템도 도입하겠다고 했다. 진작 이뤄졌어야 할 시도들이다.

서울시는 이달 말까지 우면산 복구공사를 마친다고 했지만 주민들은 여전히 불안하다. 그저 지난해와 같은 집중호우가 빗겨가기만 기대할 뿐이다. 방배동 주민들의 걱정이 한낱 기우(杞憂)에 그쳤으면 한다.

chani@seoul.co.kr
2012-06-15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