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철욱 전국부 기자
지난 29일 환희의 순간을 기대하며 부산시민회관에 모여 있던 시민들은 투표 결과가 나오자 조용히 흩어졌다. “부산 위상이 이 정도밖에 안 됐던 것”이라고 자조하고 “앞으로 국제행사 개최는 꿈도 꾸기 어렵겠다”고 걱정하는 시민도 있었다.
무조건 이기는 싸움이 어디 있을까. 대규모 국제행사 유치전은 승리를 장담하기 더 어렵다. 상대도 국가의 모든 역량을 동원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29표는 충격적인 결과다. 그래서 엑스포 유치와 관계가 깊었던 가덕도신공항 조기 개항 등 각종 지역 현안 사업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지역에서 나온다.
가덕도신공항 건설에는 13조원이 들어간다. 내년에만 토지보상과 설계·공사 발주 등의 예산으로 5363억원이 편성됐다고 한다. 계획대로 2029년에 개항하려면 매해 이보다 많은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 가뜩이나 경제성이 낮다거나 지방에 왜 공항이 필요하냐는 말을 들어 온 터다. 엑스포 유치가 무산된 지금 예산 배정 우선순위가 밀릴 수 있다는 걱정이 기우는 아닌 듯하다. 지더라도 박빙의 승부였다면 이런 걱정까지 할 일이 있었을까. 신공항이 이미 있었더라면, 교통망과 박람회장 준비가 더 빨랐더라면 이겼을 거라고 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분명 아쉬운 결과지만 부산의 미래를 바꿀 현안 사업까지 흔들려서는 안 된다. 신공항 건설과 북항 재개발이 엑스포 유치를 위한 과제로 여겨졌던 건 사실이다. 하지만 엑스포 유치를 시작하기 이전부터 개별적 필요성에 의해 추진했던 사업이다. 부산이 국제적 경쟁력을 가지려면 장거리 여객, 물류를 소화할 수 있는 신공항이 꼭 필요하다. 유휴화한 항만시설 등을 이전하고 주거와 업무, 문화관광 등의 기능을 강화하는 북항 재개발 사업 또한 전국에서도 손꼽히는 고령화율을 기록하며 소멸 위기에 처한 부산 원도심을 활성화하는 데 반드시 필요하다.
엑스포 개최를 통해 이루려 했던 목표는 명확하다. 부산이 중심이 돼 남부권 발전을 이끌면서 균형발전을 실현하는 것이다. 엑스포가 물건너갔다고 부산을 내버려 두는 것은 균형발전을 포기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다행히 윤석열 대통령이 부산을 거점으로 한 남부권 성장을 차질 없이 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여야 모두 이견이 없다. 약속대로 제2성장축을 향한 부산의 여정이 흔들림 없이 계속되길 바란다.
2023-12-01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