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결은 현대 민주주의의 기본 원리로, 어떤 일에 대하여 의견이 대립될 때 결론을 내리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한두 사람의 판단보다는 다수의 생각을 따르는 것이 좀더 옳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전제로 받아들이기는 하지만 ‘다수의 의사라고 해서 반드시 옳은가’ 하는 근본적인 의문이 상존하기도 합니다.
정보통신 환경이 비약적으로 발달한 우리나라는 이제 세계적인 정보 강국이 되었습니다. 그런 환경에서 많은 정보가 생산되고 확산되고 다시 만들어집니다. 그러다 보니 심사숙고하여 판단하기도 전에, 많은 사람이 접한 정보는 여론이 되고 진실이 되며, 그렇지 못한 정보는 사라지고 맙니다. 심지어 거짓으로 올린 정보가 돌고 돌다 어느 틈에 진실이 되고 여론을 지배하는 경우까지 생겨납니다. 이것이야말로 ‘다수결의 원리’가 갖는 가장 어리석고 위험한 상황이 아닐 수 없습니다.
어느 것이 진실이고 어느 것이 거짓인지를 구별할 수 있는 밝은 눈을 우리는 가져야 할 것입니다.
■이익(李瀷·1681~1763)
조선 후기의 실학자. 자는 자신(自新), 호는 성호(星湖), 본관은 여주. 아버지와 형이 당쟁으로 죽음을 당한 탓에 일찍이 과거를 포기하고 학문 탐구와 후학 양성에 몰두했다. 유형원의 학문을 계승해 조선 후기의 실학을 집대성했으며, 정약용을 비롯한 후대 실학자들의 사상 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저서로 ‘성호집’, ‘성호집속록’, ‘성호사설’, ‘곽우록’ 등이 있다.
조경구 한국고전번역원 선임연구원
●다른 명구들도 한국고전번역원 홈페이지(www.itkc.or.kr)에서 볼 수 있습니다.
2016-02-2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