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아버지는 항상 낯선 존재다. 어떤 삶을 살았는지 제대로 들어본 적도 없다. 사진 한 장 변변하게 남아 있질 않다. 아버지에게 몇 번 물어본 적 있지만 별다른 얘기를 듣지 못했다. 그럴 수밖에 없다. 할아버지는 아버지가 네 살 때 돌아가셨다. 기억이 날 만한 게 있을 리 없다. 그나마 유일하게 할아버지의 흔적을 알 수 있는 단서는 할아버지가 묻힌 국립서울현충원이다. 국립서울현충원 묘비에는 할아버지가 1952년 10월 경기도 장단지구 전투에서 전사했고, 당시 계급이 해병대 상병이었다고 돼 있다.
얼굴 한 번 뵌 적 없는 할아버지의 흔적에 관심을 갖게 된 건 아버지가 어느 순간 ‘할아버지’가 되셨다는 걸 새삼 느꼈기 때문이다. 평생 아버지라는 존재를 모르고 살았던 아버지께 ‘당신의 아버지는 이런 분이었습니다’라는 얘기를 해 주고 싶었다. 좀더 현실적인 이유도 있었다. 서울현충원이 70년 넘게 할아버지 이름을 엉터리로 써 놓은 걸 고쳐 달라는 아버지 요청이었다.
할아버지 성함은 ‘강형재’인데 묘비에는 ‘강형방’이라고 쓰여 있었다. 병역 서류에 적힌 이름을 묘비에 새길 때 ‘재’(才)를 ‘방’(方)으로 잘못 읽으면서 착오가 생겼던 듯하다. 아버지는 잘못 적힌 이름을 늘 불편해하셨다. 서울현충원 민원게시판에 글을 올린 적도 있는데 아무런 답변도 받지 못한 채 시간만 지나가 버렸다.
지난해 초 ‘과거사 바로잡기’ 임무를 떠맡았다. 전화 통화를 수십 번 해 가며 설명하고 항의하고 읍소하고, 참다 참다 화까지 낸 끝에 몇 개월이나 걸려서 겨우겨우 지난해 현충일 직전에 이름을 바로잡을 수 있었다. 아버지는 “70년 묵은 한을 풀었다”며 기뻐하셨다.
올해도 현충일이 다가온다. 할아버지의 흔적이 담긴 당시 서류를 찾아서 아버지에게 선물하고 싶었다. 전쟁기념관에 있는 전사자 정보검색을 통해 확인한 할아버지 군번(9213001)을 바탕으로 수소문을 해 봤다. 해병대에 문의하다가 할아버지가 훈장을 받은 적이 있다는 걸 알게 됐다. 그것도 충무무공훈장이란다. 더 놀라운 건, 아버지는 훈장을 구경도 못해 봤다는 거다.
이제라도 훈장을 받을 수 있게 해 드릴 방법은 없을까. 보훈 업무라고 생각해서 국가보훈부에 물어보니 국방부에서 관련 서류를 이관받은 적이 없어 관련 기록 자체가 없다며 국방부에 물어보라고 했다. 국방부에선 ‘6·25전쟁 무공훈장 주인공 찾기’ 사업을 알려 줬다. 할아버지는 해병대였다고 했더니 “육해공군 상관없이 ‘6·25전쟁 무공훈장 수여 등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국방부 차원에서 하는 사업”이라는 답이 돌아왔다. 전화를 해 봤다. 담당자가 대뜸 한다는 소리는 “우리는 육군 관련 훈장 찾아주기 업무만 처리합니다. 해병대에 문의하세요”였다. 분위기를 보아하니 충무무공훈장 구경은 앞으로 70년은 걸릴 것 같다.
훈장은 미궁에 빠졌지만 그래도 그 와중에 소소한 성과는 있었다. 할아버지의 ‘해병대 복무기록’ 사본을 구할 수 있었다. 한자 초서체로 심하게 흘려 써 놔서 읽는 것 자체가 쉽진 않지만 그래도 간략하게나마 할아버지의 흔적이 담겨 있었다. 지난주 서울에 오신 아버지에게 보여 드렸다. 아버지는 서류를 한참 동안 들여다보셨다.
해마다 현충일은 온 가족이 총집합하는 날이다. 더구나 올해는 미국 사는 누나도 합류한다. 제사는 간단히, 점심은 성대히. 아이들이 특히 좋아한다. 웃음과 장난이 끊이질 않는다. 바라옵건대, 현충원이 계속 그렇게 눈물의 장소가 아니라 소풍 명소로 아이들에게 기억되길.
강국진 정치부 차장
얼굴 한 번 뵌 적 없는 할아버지의 흔적에 관심을 갖게 된 건 아버지가 어느 순간 ‘할아버지’가 되셨다는 걸 새삼 느꼈기 때문이다. 평생 아버지라는 존재를 모르고 살았던 아버지께 ‘당신의 아버지는 이런 분이었습니다’라는 얘기를 해 주고 싶었다. 좀더 현실적인 이유도 있었다. 서울현충원이 70년 넘게 할아버지 이름을 엉터리로 써 놓은 걸 고쳐 달라는 아버지 요청이었다.
할아버지 성함은 ‘강형재’인데 묘비에는 ‘강형방’이라고 쓰여 있었다. 병역 서류에 적힌 이름을 묘비에 새길 때 ‘재’(才)를 ‘방’(方)으로 잘못 읽으면서 착오가 생겼던 듯하다. 아버지는 잘못 적힌 이름을 늘 불편해하셨다. 서울현충원 민원게시판에 글을 올린 적도 있는데 아무런 답변도 받지 못한 채 시간만 지나가 버렸다.
지난해 초 ‘과거사 바로잡기’ 임무를 떠맡았다. 전화 통화를 수십 번 해 가며 설명하고 항의하고 읍소하고, 참다 참다 화까지 낸 끝에 몇 개월이나 걸려서 겨우겨우 지난해 현충일 직전에 이름을 바로잡을 수 있었다. 아버지는 “70년 묵은 한을 풀었다”며 기뻐하셨다.
올해도 현충일이 다가온다. 할아버지의 흔적이 담긴 당시 서류를 찾아서 아버지에게 선물하고 싶었다. 전쟁기념관에 있는 전사자 정보검색을 통해 확인한 할아버지 군번(9213001)을 바탕으로 수소문을 해 봤다. 해병대에 문의하다가 할아버지가 훈장을 받은 적이 있다는 걸 알게 됐다. 그것도 충무무공훈장이란다. 더 놀라운 건, 아버지는 훈장을 구경도 못해 봤다는 거다.
이제라도 훈장을 받을 수 있게 해 드릴 방법은 없을까. 보훈 업무라고 생각해서 국가보훈부에 물어보니 국방부에서 관련 서류를 이관받은 적이 없어 관련 기록 자체가 없다며 국방부에 물어보라고 했다. 국방부에선 ‘6·25전쟁 무공훈장 주인공 찾기’ 사업을 알려 줬다. 할아버지는 해병대였다고 했더니 “육해공군 상관없이 ‘6·25전쟁 무공훈장 수여 등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국방부 차원에서 하는 사업”이라는 답이 돌아왔다. 전화를 해 봤다. 담당자가 대뜸 한다는 소리는 “우리는 육군 관련 훈장 찾아주기 업무만 처리합니다. 해병대에 문의하세요”였다. 분위기를 보아하니 충무무공훈장 구경은 앞으로 70년은 걸릴 것 같다.
훈장은 미궁에 빠졌지만 그래도 그 와중에 소소한 성과는 있었다. 할아버지의 ‘해병대 복무기록’ 사본을 구할 수 있었다. 한자 초서체로 심하게 흘려 써 놔서 읽는 것 자체가 쉽진 않지만 그래도 간략하게나마 할아버지의 흔적이 담겨 있었다. 지난주 서울에 오신 아버지에게 보여 드렸다. 아버지는 서류를 한참 동안 들여다보셨다.
해마다 현충일은 온 가족이 총집합하는 날이다. 더구나 올해는 미국 사는 누나도 합류한다. 제사는 간단히, 점심은 성대히. 아이들이 특히 좋아한다. 웃음과 장난이 끊이질 않는다. 바라옵건대, 현충원이 계속 그렇게 눈물의 장소가 아니라 소풍 명소로 아이들에게 기억되길.
강국진 정치부 차장
강국진 정치부 차장
2024-04-16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