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준의 시간여행] 떠돌이약장수가 있던 풍경

[이호준의 시간여행] 떠돌이약장수가 있던 풍경

입력 2020-03-24 17:34
업데이트 2020-03-25 04: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한 공원 앞을 지나다 그들을 만났다. 여러 사람이 빙 둘러 서 있길래 까치발을 하고 들여다보니, 중년남자가 사람 몸의 독성을 제거해 준다는 약재를 팔고 있었다. 거기서 조금 떨어진 곳에는 또 한 사람이 약재들을 늘어놓고, 그 약재로 조제했다는 약을 팔고 있었다.

옛날 같은 익살과 재담은 터져 나오지 않았지만 오랫동안 잊고 있었던 떠돌이약장수가 저절로 떠오르는 풍경이었다.

조금 더 걷다 만난 약장수 팀은 제법 규모가 컸다. 그럴듯한 차력도구까지 늘어놓고 지나가는 사람들을 유혹하고 있었다. 승려 차림을 한 남자가 약을 홍보하고 있었는데, 구경하는 사람들이 제법 많았다. 과거에 규모 좀 갖추고 떠돌던 약장수들의 전형적인 모습이었다. 아! 지금도 저런 게 남아 있구나…. 감회가 새로웠다.

떠돌이약장수. 비록 엉터리 약으로 촌부들의 호주머니를 탐하기도 했지만, 어렵던 시절 남루한 삶을 상징하는 아이콘 중 하나였다.

“자아~ 자아~ 애들은 가라, 날이면 날마다 오는 게 아냐. 기회는 딱 한 번. 거기 아저씨 깡통 깔고 앉아… 이것이 무엇이냐. 안 사도 뭐라고 안 하니까 끝까지 들어나 봐. 이게 바로 말로만 듣던 만병통치약 ○○○이야….”

이렇게 목청 높여 약을 파는 사람은 3류 떠돌이약장수였다. 떠돌이약장수도 급이 있었다. 모두 ‘뱀장수 스타일’로 목청을 높여 약을 판 건 아니었다.

현란한 마술을 앞세우는가 하면 악기와 무희까지 동원해 쇼를 하거나 차력을 해서 사람들을 모으기도 했다. 그도 저도 아니면 원숭이라도 내세워 장꾼의 발길을 잡았다. 하지만 마술도 할 줄 모르고 노래도 안 되고 차력은 엄두도 못 내고 원숭이 살 돈마저 없는 약장수는 오로지 입심을 밑천 삼아 사람을 불러 모을 수밖에 없었다.

끝없이 사설을 엮어내던 그들의 내공은 지금 생각해 보면 대단한 것이었다. 나름대로 그 시대를 울리고 웃기던 예인들이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구경거리가 별로 없는 시골사람들은 그들의 재담에 배꼽을 잡으며 웃을 수 있었다.

오일장에는 양말장수도 선술집도 없어서는 안 되지만, 떠돌이약장수가 없으면 꼴뚜기 빠진 어물전처럼 허전하기 마련이었다. 장날이면 떠돌이약장수들은 특유의 재주로 장꾼들을 끌어모았다. 쇼나 차력을 앞세운 약장수는 서커스단에 버금갈 만큼 화려한 판을 벌였다.

그들이 파는 약은 다양했다. 종기를 빼는 고약이나 무좀약, 위장약, 두통약, 모든 병이 싹 낫는다는 만병통치약까지 없는 게 없었다. 정말 병을 낫게 하는 약도 없지는 않았겠지만, 대개는 그저 그런 재료로 조악하게 만든 약들이었다.

만병통치약이라는 게 있을 리도 없으려니와, 있다고 한다면 장마당을 전전할 까닭이 없을 터였다. 그런데도 약은 쏠쏠하게 팔렸다. 나들이 삼아 나온 장이니 시간도 남고 심심도 하던 차에 막걸리 한 잔 걸치고 약장수 앞에 앉아 있노라면 자신도 모르게 정신줄을 놓치고는 했다. 화려한 언변에 노글노글 녹아서 고추 판 돈을 몽땅 주고 약을 사들고 갔다가, 효험도 못 보고 땅을 치는 일인들 왜 없었을까.

시간의 거센 바람이 떠돌이약장수라고 남겨둘 리 없다. 요즘은 오일장을 돌아다녀 봐도 떠돌이약장수를 찾아보기 어렵다. 어느덧 사라진 직업이 된 것이다. 장터에서 약을 살 만큼 어수룩한 시절도 아니거니와 시골에도 의료 혜택이 전보다 나아졌기 때문이다. 결국 한 시대를 추억할 때나 소환되는 박제가 되고 말았다. 그래도 가끔 떠돌이약장수가 목청을 높이던 옛날 장터가 그리워지는 건 세상이 자꾸 삭막해지기 때문일까.
2020-03-25 34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