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사진 찍고 가실게요”/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사진 찍고 가실게요”/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0-05-20 22:22
업데이트 2020-05-21 01: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주말 결혼식장에 다녀왔다. 예식이 끝나고 식장을 나서려는데 진행요원이 말했다. “친지분들 나오세요. 사진 찍고 가실게요.”

요즘 주변에서 ‘-실게요’란 표현을 심심찮게 듣는다. 몇 년 전 TV 개그 프로그램에서 사용해 유행어가 된 뒤 일상적으로 쓰이고 있다. 주로 고객 응대 분야에서 상대를 높이기 위해 쓰인다. 병원에 가면 “이쪽에서 기다리실게요” “다음 환자분 들어오실게요”라고, 백화점에서는 “이쪽에서 입어 보실게요” “저쪽에서 계산하실게요”라고 한다. 듣는 사람 입장에선 대접받는다는 느낌이 들기보다는 뭔가 어색하고 불편하다.

‘-ㄹ게’는 “곧 연락할게” “먼저 갈게”처럼 어떤 행동에 대한 약속이나 의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1인칭 주어와 호응한다. 여기에 청자 존대의 의미를 나타내는 ‘-요’를 붙이기도 한다. 그런데 자신의 행위에 대해 ‘-시-’를 넣어 높일 수는 없으므로 ‘-ㄹ게’는 높임의 ‘-시-’와는 어울리지 않는다. 즉 “제가 그 일을 할게요”라고 해야지 “제가 그 일을 하실게요”라고 쓰면 안 된다. 더구나 2, 3인칭에 ‘-ㄹ게요’를 쓰면 어법에 어긋난다. “제가 그쪽으로 갈게요”는 맞지만 “고객님, 그쪽으로 갈게요”는 틀린 표현이다.

그러니 “꼭 누르실게요” “저쪽으로 가실게요” 등은 설명·의문·명령·요청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세요’를 붙여 “꼭 누르세요” “저쪽으로 가세요”로 표현해야 한다.

oms30@seoul.co.kr

2020-05-21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