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놀래다와 놀래키다/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놀래다와 놀래키다/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0-11-18 20:38
업데이트 2020-11-19 04: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놀라다’의 사동사로 “뜻밖의 일을 해 남을 무섭게 하거나 가슴을 두근거리게 하다”란 뜻의 단어는 무엇일까. 아마도 적지 않은 사람이 ‘놀래키다’를 떠올릴 것이다.

하지만 사전에 올라 있는 정답은 ‘놀래다’이다. 사전에는 ‘놀래키다’가 ‘놀래다’의 충청 방언이라고 설명돼 있다. 현실과 너무 동떨어진 쓰임이다.

‘놀라게 하다’란 뜻으로 표준어인 ‘놀래다’를 쓰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 압도적으로 많은 사람이 ‘놀래키다’란 말을 사용할 것이다. ‘놀래키다’는 ‘놀라다’에 사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이키’가 붙은 형태다. “영화 ‘기생충’은 올해 아카데미 최다 수상작이라는 새 기록을 쓰며 전 세계를 놀랬다”나 “동생을 놀래 주려고 뒤에서 몰래 다가갔다” 등은 “전 세계를 놀라게 했다” 또는 “동생을 놀라게 해 주려고”란 뜻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 ‘놀래켰다’나 ‘놀래켜 주려고’가 ‘놀라게 하다’란 본래의 뜻을 나타내는 데 적합해 보인다.

오히려 ‘놀래다’는 “깜짝 놀랬잖아”처럼 ‘놀라다’의 구어체 형태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놀래키다’는 우리말 조어법에도 어긋나지 않는다. “지난 일을 다시 생각하거나 원래 향하고 있던 방향에서 반대쪽으로 돌리다”란 뜻의 ‘돌이키다’는 ‘돌다’의 어간 뒤에 ‘이키’가 붙은 말이다. ‘돌이키다’는 표준어인데 ‘놀래키다’가 표준어가 되지 못할 이유는 없다.

oms30@seoul.co.kr
2020-11-19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