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폭염 속 노인 안전대책 이제서야 허둥대나

[사설] 폭염 속 노인 안전대책 이제서야 허둥대나

입력 2012-08-03 00:00
업데이트 2012-08-03 01: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동해안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한, 서울을 비롯한 대부분 지역에 찜통 더위가 계속되고 있다. 그제 서울의 최고 기온이 35.3도를 기록했고, 전북 정읍의 최고기온은 37.8도까지 치솟기도 했다. 서울에는 지난달 25일부터 폭염주의보(이틀 이상 최고기온이 33도 이상)가 내려졌으나 그제는 폭염경보(이틀 이상 최고기온이 35도 이상)로 격상되기까지 했다. 2008년 폭염예보제 도입 이후 서울에 폭염경보가 내려진 것은 처음이었다. 그만큼 올여름이 유난히 푹푹 찌고 있다는 얘기다. 이달 중순까지는 전국적으로 폭염이 계속될 것이라고 한다.

열대야 현상까지 겹친 찜통 더위는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특히 노약자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 전국 458개 응급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한 ‘폭염 건강피해 표본감시’ 결과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미 7명이 폭염으로 목숨을 잃었다. 특히 전국적으로 폭염특보가 발표된 지난달 말 1주일 동안에만 4명이 목숨을 잃었다. 50세 남성 한 명을 제외한 6명은 모두 60세 이상이었다. 찌는 듯한 무더위로 인해 노인들의 건강이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는 것이다.

폭염을 견디기 쉽지 않은 독거노인이나 거동이 어려운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에 적극 나서야 한다. 과거 미국, 유럽에 폭염이 닥쳤을 때 저소득 노령계층이 주로 피해를 입었다. 정부는 어제 전국 쪽방촌에 사는 노인 1555명과 독거노인 2400명에게 쿨매트와 선풍기를 전달했다. 진작에 했어야 할 일을 너무 늦게 한 게 아닌가 하는 안타까움이 든다. 폭염을 맞아 지방자치단체의 관련 공무원들은 물론이고, 도우미·기업·이웃들도 취약계층에 대한 안전대책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취약계층을 방문하는 횟수를 늘리고, 전화도 자주 하는 등 맞춤형 복지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응급환자가 발생할 경우 이송체계에는 문제가 없는지 점검해 보기 바란다.

2012-08-03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