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찰 ‘검사 뇌물’ 의혹 수사 당당하게 하라

[사설] 경찰 ‘검사 뇌물’ 의혹 수사 당당하게 하라

입력 2012-11-10 00:00
업데이트 2012-11-10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찰이 현직 검사의 비위 사실에 대해 수사에 착수해 파장이 커지고 있다. 경찰은 서울에 근무하는 부장급 검사가 실소유주인 것으로 추정되는 차명계좌에 다단계 사기범 조희팔씨의 측근과 대기업 대표에게서 수억원이 입금된 정황이 포착됐다고 밝혔다. 추가적인 주변 조사를 거쳐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할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다. 반면 검사는 “가정 사정 때문에 친구와 후배의 돈을 빌려 전세금 등으로 쓴 것일 뿐 대가성은 없다.”고 공식 해명했다. 현재로서는 누구의 말이 맞는지 알 수 없는 상황인 만큼 진실이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 급선무다.

검사가 뇌물 수수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게 된 만큼 경찰이나 검찰 모두 신경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을 것이다. 경찰은 움츠리지 말고 당당하게 수사해 의혹을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 조씨의 측근은 해외도피 중이고 대기업 대표는 개인적으로 빌려 준 돈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까닭에 대가성을 입증하는 것이 쉽지 않을 수도 있다. 경찰의 수사 능력이 주목된다. 경찰은 수사를 미루거나 흐지부지 끝낼 생각은 아예 하지 말기 바란다 . 수사 개시를 검찰에 통보했다고 하니 정당한 절차에 의해 검사의 지휘를 요청해야 한다.

검찰은 특임검사를 지명해 수사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의혹이 커져 신속하게 수사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경찰이 인지해 수사가 진행 중인 사건이기 때문에 자기 식구 감싸기라는 오해를 살 여지가 있다. 경찰은 검찰의 움직임에 대해 이중수사이며 경찰 수사 진행을 방해하려는 조치라고 반발하고 있다. 검찰은 수사 진행 상황에 국민들의 시선이 쏠려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독립적으로 수사하기보다 경찰의 수사를 제대로 지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그러지 않을 경우 검경의 감정싸움으로 번지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간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2012-11-10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