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조양호 회장, ‘땅콩회항’ 딸 복귀 언급 부적절하다

[사설] 조양호 회장, ‘땅콩회항’ 딸 복귀 언급 부적절하다

입력 2015-06-20 00:06
수정 2015-06-20 00: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항공기를 돌린 ‘땅콩회항’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장녀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의 복귀를 시사하는 말을 했다. 조 회장은 최근 파리 에어쇼가 열리고 있는 프랑스 르부르제 공항에서 기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땅콩회항’으로 인한 후계 구도의 변화를 묻자 “세 명이 각자 전문성이 있으니 전문성을 최대로 살리겠다”고 답변했다. 조 회장은 “덮어 놓고 (기업을) 넘기지는 않겠다”는 말도 하기는 했지만, 기업을 자녀에게 넘기지 않겠다는 게 아니라 자식들이 전문성이 있으니 역할을 맡기겠다는 쪽으로 강조점이 찍혀 있는 말이다.

삼남매를 둔 조 회장으로서는 ‘원론적인 답변’이었다고 항변할 수도 있다. 하지만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이 항소심에서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감옥에서 나온 지 한 달이 채 안된 시점에서, 또 문제의 ‘땅콩회항’ 발생 6개월 만에 나온 답변이라는 점이 문제다. ‘땅콩회항’이 한국 사회에 일으킨 재벌 3세의 안하무인식 갑질에 대한 파장을 고려하지 않은 발언이 아닐 수 없다. 대한항공 오너들의 막무가내식 경영 행태를 비판하던 여론이 더 냉소적으로 변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땅콩회항’ 사건은 폭언과 폭행 등을 어설프게 은폐하려다가 폭로됐고, 형식적 사과로 수습하려다가 여론의 거센 반격으로 법정까지 간 사건이다. 국민은 ‘오너경영’에 집착하는 한국 재벌의 풍토상 조 전 부사장이 대한항공에 복귀할 것을 예상했지만, 이렇게 초스피드로 복귀론이 나올 줄은 차마 몰랐다.

조 전 부사장은 항소심에서 집행유예로 풀려났지만, 검찰이 상고해 아직 대법원의 판단도 남아 있다. 또 폭언과 폭행 등의 부당한 대우를 받았다는 기내 승무원 김모씨는 조 전 부사장과 대한항공을 상대로 미국 법원에 민사소송을 제기해 놓은 상태다. 조 회장은 아무리 마음이 급해도 관련 소송 등이 일단락된 뒤 경영 복귀를 언급하는 게 상식이고 순리였다. 부모가 자식을 생각하고, 사랑하는 마음이야 이해할 수 있지만 ‘땅콩회항’에 불쾌한 국민이 많은 상황에서 조기복귀 가능성을 활짝 열어 놓은 것은 경솔했다. 국민들의 일반적인 정서와 한참 동떨어진 말이다. 아직도 조 회장은 사태의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다. 조 회장이 전문성을 살리겠다고 한 대목도 회의적이다. 상당수 국민은 삼남매의 경영 능력이나 전문성에 대해 높은 점수를 주고 있지 않다.
2015-06-20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