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막말’ 파문으로 당직이 정지된 정청래 최고위원에 대한 징계 재심을 결정해 논란이 되고 있다. 정 최고위원은 지난 5월 최고위원회의에서 주승용 최고위원이 4·29 재·보궐선거 참패에 대한 지도부 책임론을 거론하자 “사퇴하지도 않으면서 할 것처럼 공갈치는 게 더 문제”라고 말해 징계를 받았다. 새정치연합이 그제 당 혁신안을 의결하는 당무위에서 기습적으로 정 최고위원에 대한 징계 재심 요구안을 의결한 것은 누가 봐도 ‘정청래 살리기’다. 당내에서조차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결정”이라고 반발하고 나선 것도 같은 이유다. 당 혁신의 첫 행보가 친노 인사 구제라면 새정치연합의 혁신은 이미 물 건너간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
원래 이날 당무위는 혁신안을 의결하는 자리이지 정 최고위원의 징계안을 논하는 자리가 아니었다. 그런데 이용득 최고위원이 정 최고위원의 징계가 “과도하다”며 재심사를 요구하면서 갑자기 안건으로 상정됐다. 박범계 의원 등이 나서서 반대했지만 당무위를 통과했다고 한다. 당초 당 윤리심판원에서 지난 5월 정 최고위원에 대해 내린 징계 수위는 ‘당직 자격정지 1년’이라는 중징계였다. 막말 정치로 더이상 멀어지는 민심을 그대로 놔둬서는 안 된다는 위기 의식에서 나온 불가피한 조치였다.
하지만 재심에서 ‘6개월 자격정지’로 대폭 낮춰졌다. 그런데 이제 그 6개월도 길다며 징계 수위를 다시 낮추겠다고 나서는 것은 국민을 우습게 보는 처사가 아닐 수 없다. 당내에서는 이번 결정 뒤에 문재인 대표의 역할론이 나온다. 이른바 내년 총선, 후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친노 인사인 정 최고위원을 살리는 등 친노 세력의 전력 재정비로 가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문 대표는 재·보선 참패 이후 당 대표직을 사퇴하지 않고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을 혁신위원장으로 영입해 당내 개혁안을 만들도록 했다.
문 대표는 당시 “기득권을 내려놓고 육참골단(肉斬骨斷·자신의 살을 베어 주고 상대의 뼈를 끊는다)의 자세로 임하겠다”고 하지 않았던가. 기득권 해소와 계파 척결을 외쳐 놓고도 당 혁신안을 의결하는 날, 슬쩍 친노 인사의 구제안을 끼워 넣은 것을 보니 친노 패권주의가 그대로 드러나는 것 같아 씁쓸하기만 하다. 알맹이 빠진 혁신안도 한심한데 게다가 ‘친노 일병 구하기’에 나선 제1야당을 보면 과연 수권 의지가 있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원래 이날 당무위는 혁신안을 의결하는 자리이지 정 최고위원의 징계안을 논하는 자리가 아니었다. 그런데 이용득 최고위원이 정 최고위원의 징계가 “과도하다”며 재심사를 요구하면서 갑자기 안건으로 상정됐다. 박범계 의원 등이 나서서 반대했지만 당무위를 통과했다고 한다. 당초 당 윤리심판원에서 지난 5월 정 최고위원에 대해 내린 징계 수위는 ‘당직 자격정지 1년’이라는 중징계였다. 막말 정치로 더이상 멀어지는 민심을 그대로 놔둬서는 안 된다는 위기 의식에서 나온 불가피한 조치였다.
하지만 재심에서 ‘6개월 자격정지’로 대폭 낮춰졌다. 그런데 이제 그 6개월도 길다며 징계 수위를 다시 낮추겠다고 나서는 것은 국민을 우습게 보는 처사가 아닐 수 없다. 당내에서는 이번 결정 뒤에 문재인 대표의 역할론이 나온다. 이른바 내년 총선, 후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친노 인사인 정 최고위원을 살리는 등 친노 세력의 전력 재정비로 가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문 대표는 재·보선 참패 이후 당 대표직을 사퇴하지 않고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을 혁신위원장으로 영입해 당내 개혁안을 만들도록 했다.
문 대표는 당시 “기득권을 내려놓고 육참골단(肉斬骨斷·자신의 살을 베어 주고 상대의 뼈를 끊는다)의 자세로 임하겠다”고 하지 않았던가. 기득권 해소와 계파 척결을 외쳐 놓고도 당 혁신안을 의결하는 날, 슬쩍 친노 인사의 구제안을 끼워 넣은 것을 보니 친노 패권주의가 그대로 드러나는 것 같아 씁쓸하기만 하다. 알맹이 빠진 혁신안도 한심한데 게다가 ‘친노 일병 구하기’에 나선 제1야당을 보면 과연 수권 의지가 있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2015-07-1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