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의 내분이 분당(分黨)의 위기로 치닫고 있다. 안철수 의원이 문재인 대표에게 혁신전당대회를 요구하며 칩거에 들어간 이후 비주류 측이 안 의원을 지지하는 ‘구당모임’을 결성하면서 탈당 의사를 가시화하는 형국이다. 이종걸 원내대표를 비롯한 일부 최고위원들의 당무 거부 사태도 확산되는 등 새정치민주연합의 지도부 붕괴와 분당의 흐름이 심상치 않다. 문 대표 역시 그제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안 의원의 혁신전대 개최에 대해 거부 의사를 분명히 한 데 이어 문 대표 측근들도 어제 “비주류 당직자가 사퇴하면 곧바로 자리를 채울 것”이라며 강경 대응을 시사했다. 주류와 비주류 모두 배수진을 친 상황에서 제 갈 길로 가겠다는 분위기다.
새정치연합의 작금의 갈등은 상호 불신까지 겹쳐 해결 난망의 상태가 됐다. 그동안 잇단 재·보선 참패로 문 대표 사퇴론이 불거질 때마다 주류 측은 혁신위, 재신임 투표 등의 수단으로 위기를 모면했고 미봉책으로 갈등을 봉합해 왔지만 당의 체질 자체가 달라졌다고 생각하는 국민은 별로 없다. 선당후사(先黨後私)의 자세와 육참골단(肉斬骨斷·자신의 살을 베어내 주고 뼈를 끊는다)의 의지로 단합을 이루겠다는 문 대표의 약속은 이미 공수표가 됐다. 문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가 기득권을 내려놓고 통합의 밀알이 되고자 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안 의원을 비롯한 비주류 역시 국민과 지지자들을 설득할 만한 대안도 없이 당권 경쟁에 골몰하고 있다는 인상을 지우기 어렵다. 국민들은 새정치민주연합 내부의 싸움에 인내가 바닥이 난 상태다. 국민들의 눈초리는 싸늘하다 못해 이제 분노로 가득하다.
제1 야당의 지리멸렬로 국회는 사실상 마비 상태가 됐다. 정부 여당을 견제하고 비판해야 할 야당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대표와 원내대표가 서로 입장이 달라 여야 협상도 지지부진이다. 야권 분열도 바람직하지 않지만 이런 식의 갈등을 이어 가는 것도 공당으로서 도리는 아니다. 어중간한 상태로 다시 갈등을 봉합한다고 해도 내년 총선 공천권을 둘러싸고 또다시 분열로 갈 수밖에 없는 구도다. 이런 상태로 수권 정당으로서 비전과 희망을 제시하기는 어렵다. 제1 야당의 기득권을 누리기 위한 ‘불편한 동거’보다 차라리 분당을 통해 새로운 출발을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새정치연합의 작금의 갈등은 상호 불신까지 겹쳐 해결 난망의 상태가 됐다. 그동안 잇단 재·보선 참패로 문 대표 사퇴론이 불거질 때마다 주류 측은 혁신위, 재신임 투표 등의 수단으로 위기를 모면했고 미봉책으로 갈등을 봉합해 왔지만 당의 체질 자체가 달라졌다고 생각하는 국민은 별로 없다. 선당후사(先黨後私)의 자세와 육참골단(肉斬骨斷·자신의 살을 베어내 주고 뼈를 끊는다)의 의지로 단합을 이루겠다는 문 대표의 약속은 이미 공수표가 됐다. 문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가 기득권을 내려놓고 통합의 밀알이 되고자 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안 의원을 비롯한 비주류 역시 국민과 지지자들을 설득할 만한 대안도 없이 당권 경쟁에 골몰하고 있다는 인상을 지우기 어렵다. 국민들은 새정치민주연합 내부의 싸움에 인내가 바닥이 난 상태다. 국민들의 눈초리는 싸늘하다 못해 이제 분노로 가득하다.
제1 야당의 지리멸렬로 국회는 사실상 마비 상태가 됐다. 정부 여당을 견제하고 비판해야 할 야당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대표와 원내대표가 서로 입장이 달라 여야 협상도 지지부진이다. 야권 분열도 바람직하지 않지만 이런 식의 갈등을 이어 가는 것도 공당으로서 도리는 아니다. 어중간한 상태로 다시 갈등을 봉합한다고 해도 내년 총선 공천권을 둘러싸고 또다시 분열로 갈 수밖에 없는 구도다. 이런 상태로 수권 정당으로서 비전과 희망을 제시하기는 어렵다. 제1 야당의 기득권을 누리기 위한 ‘불편한 동거’보다 차라리 분당을 통해 새로운 출발을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2015-12-1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