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강제노역 적시 약속 외면한 일본의 군함도 역사왜곡

[사설] 강제노역 적시 약속 외면한 일본의 군함도 역사왜곡

입력 2020-06-15 20:38
업데이트 2020-06-16 02: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징용 현장인 하시마(端島ㆍ일명 ‘군함도’) 탄광 등을 소개하는 도쿄의 ‘산업유산정보센터’(이하 정보센터)가 어제 일반에 첫 공개됐지만 강제징용 사실은 일절 언급되지 않았다. 군함도 등에서의 조선인 강제노동 공개는 유네스코가 2015년 일본의 군함도 등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시키면서 전제조건으로 내걸었던 사안이다. 당시 일본 정부도 “가혹한 강제노역을 했고 강제징용 희생자를 기리기 위해 적절한 조처를 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런데 일본 정부가 국제사회와의 약속을 손바닥 뒤집듯 하고는 정보센터를 산업화 성과를 자화자찬하는 장소로 꾸민 것이다.

도쿄 신주쿠 소재 일본 정부 총무성 제2청사 별관에 마련된 정보센터는 지난 2015년 7월 메이지 시대 산업시설 23곳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면서 군함도 등 강제노역 시설 7곳에 대해 일제의 강제징용 사실을 인정하고 희생자들을 기리기로 일본 정부가 약속한 공간이다. 그럼에도 정보센터에는 “군함도에서는 노예노동이 없었고 조선인에 대한 차별도 없었으며 월급도 제대로 지급됐다”는 자국 생존자들의 증언들을 넣어 사실을 왜곡했다.

일본 정부는 이미 여러 차례 유네스코의 권고를 무시하거나 강제노역 자체를 숨기려 했다. 2017년 처음 유네스코 유산위원회에 제출한 이행경과보고서에는 당초 약속과 달리 ‘강제’라는 단어를 아예 명시하지도 않았다. 2018년 6월 열린 제42차 세계유산위원회는 “당사국 간 지속적인 대화”를 일본 정부에 권고했지만 우리 정부의 대화 요청에 한 차례도 응하지 않았다.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간직한 소중한 문화유산을 미래 세대에 전하자는 의도이다. 군함도 등은 일본에는 근대화의 증거이겠지만, 수많은 조선인과 중국인들에게는 강제 노역과 차별 등으로 목숨을 빼앗긴 참혹한 역사의 현장이 분명하다. 역사를 미화해 미래 세대에 거짓을 알리고자 한다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할 가치가 없다. 유네스코는 하루빨리 일본 정부의 역사왜곡 행위를 바로잡아 세계문화유산의 보편적 가치를 증명해야 한다.

2020-06-16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