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고] 자막 오류 개선, 공공기금 지원이 답/강재형 MBC 아나운서·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방송언어특위 위원

[기고] 자막 오류 개선, 공공기금 지원이 답/강재형 MBC 아나운서·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방송언어특위 위원

입력 2022-07-27 20:14
업데이트 2022-07-28 02: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강재형 MBC 아나운서·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방송언어특위 위원
강재형 MBC 아나운서·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방송언어특위 위원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 펴낸 ‘2021년 방송언어 조사 자료집’을 보았다. 방심위에서 방송언어 조사·분석 결과를 종합한 것으로 최근 방송의 한 면을 볼 수 있는 창이다.

방송언어특별분과 회의에서는 자료집의 내용을 두고 걱정이 많았다. 방송언어 수준의 하향세가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그 흐름의 중심에 자막이 있다. 본문 784쪽을 채운 표현 가운데 ‘자막’이 4025건으로 가장 많이 등장한 게 방증이다.

올해 9차 실태보고서를 보면 전체 456건 중 ‘부정확한 표현’, ‘띄어쓰기 오류’ 등 자막이 126건으로 28%였다. ‘지적 사항’의 4분의1 이상을 자막이 차지한 것이다. ‘간드아!’(간다!), ‘엄마 어디쪄ㅠㅠ’(엄마 어딨어) 같은 ‘의도적인 표기 오류’는 제작 자율성을 고려해 제외했음에도 그렇다. 나머지는 제작진의 실수와 무지에서 비롯한 것이다. ‘괜시리’(괜스레), ‘로맨티스트’(로맨티시스트) 등의 ‘실수’와 ‘무지’는 어렵지 않게 바룰 수 있다. 그렇다, 정말 쉽다.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에 맞춤법 검사·교정 기능을 넣으면 된다.

국내 맞춤법 교정기 시장을 이끌고 있는 N사의 2021년 자료에 따르면 ‘자막기용’ 도입은 대학 3곳, 케이블 방송 2곳뿐이다. 다양한 매체가 ‘기사 작성용’으로 도입한 숫자에 비하면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이유는 무엇일까. 기사(문서) 작성기에 견주어 편집 프로그램에 관련 기술을 얹는 것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 것이라 지레짐작하기 때문일 것이다.

국내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는 A사와 맞춤법 검사·교정 기술을 보유한 N사 관계자는 기술적으로 어렵지 않다고 얘기한다. 비용 또한 크지 않다. 올해 사단법인 국어문화원연합회가 방송사에 지원하는 ‘한글날 특집 프로그램 제작비’ 수준으로 추산한다. 맞춤법 검사·교정 기능은 온라인 플랫폼에도 적용할 수 있다. 국내 유튜브 채널은 지난해 10만개에 육박했다. 개인 창작자에게도 도움이 되는 것이다. 제작 현장에서는 ‘(편집) 프로그램 자체에 있으면 좋은데…’, ‘맞춤법 검사를 제공하는 별도 프로그램을 이용해 일일이 복붙(복사·붙이기)해야 하니 번거롭다’며 한목소리를 낸다.

맞춤법 검사·교정 기술 수준은 충분하다.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에 대한 적용도 어렵지 않다. 필요성이 크다면 도입해야 한다. 문제는 비용이다. 개인이나 개별 매체가 부담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내 돈 들여서’까지 나설 형편이 아니기 때문이다. 유관 기관의 공공기금에서 지원하는 게 답이다. 기관 하면 떠오르는 ‘심의’와 ‘규제’에서 공공 콘텐츠 제작 ‘편의’ 제공으로 인식을 전환한다는 차원에서도 그렇다.
2022-07-28 25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