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진 연장이 망치뿐이라면 모든 문제를 못으로 보게 된다.”
이 말을 처음 들었을 때 무릎을 치며 감탄했다. 어떤 분이 이렇게 훌륭한 말씀을 하셨나 싶어 찾아보기까지 했다. 심리학자인 에이브러햄 매슬로! 그의 말대로 사람은 세상을 저마다의 창을 통해서 본다. 창에 망치가 걸려 있다면 되도록 세상에 못이 많기를 바랄 것이다. 나는 글을 쓰고 스토리를 만든다. 증강현실(AR)과 혼합현실(MR) 기술을 개발한다. 그러니 나로서는 세상이 ‘가상공간 속 재미난 이야깃거리’로 보이는 것이 당연하다. 만약 세상이 현실을 넘어선 꿈이거나 혹은 환상이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
매년 미국 자연사 박물관에서는 아이작 아시모프의 기념 토론회가 열린다. 2016년 토론회의 경우 주제가 자못 황당했다. “우리는 시뮬레이션 우주에 살고 있는가?” 너와 나, 세상의 모든 존재들이 컴퓨터가 0과 1로 만들어 내는 가상의 세상에서 살고 있다는 주장이다. 인류가 그렇게나 찬탄하는 사랑의 감정조차 데이터가 만들어 내는 환상이라는 것이다. 영화나 만화에서 나올 법한 주장을 두고 과학자와 공학자들이 진지한 토론을 펼쳤다.
2016년 6월 1일 솔라시티의 회장 일론 머스크도 재미있는 이야기를 했다. 2025년까지 인간을 화성에 보낼 거라고 말하면서 시뮬레이션 우주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우리가 있는 곳이 현실일 가능성은 수십억분의 일입니다.” 경악스러운 기술의 발전 속도가 곧 인간을 실제 현실과 가상의 현실을 구분할 수 있는 세상으로 이끈다는 주장이다. 우리가 모의 현실을 만들 수 있다면 이미 만들어진 모의 현실 속에 우리가 존재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지 않을까.
시뮬레이션 우주론은 철학자이자 옥스퍼드대학 교수인 닉 보스트롬의 제안이다. 기술이 발달하고 컴퓨터의 계산 능력이 발달하면 지적 생명체는 언젠가 우주 전체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기술도 갖게 될 것이다. 기술을 갖기 전 문명이 멸망하거나 기술을 갖고도 시뮬레이션 자체에 흥미를 느끼지 않는 경우는 제외하자. 보스트롬 교수는 어떤 문명이 우주를 시뮬레이션할 수준에 도달하고, 시뮬레이션에 흥미도 가질 가능성을 20% 정도로 본 모양이다. 그 경우 존재들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자신만의 우주를 만들고자 할 것이다. 심지어 그렇게 시뮬레이션된 우주도 자체의 시뮬레이션을 창조할 수 있다. 무수한 시뮬레이션의 연쇄가 만들어질 테니 우리의 현재 우주가 시뮬레이션일 확률이 그렇지 않을 확률보다 훨씬 높다는 것이 보스트롬의 주장이다.
복잡한 과학이론으로 흘러가기 전에 말꼬리를 얼른 익숙한 옛 우화로 돌리자. 장자의 꿈. 봄날 나비꿈을 꾼 장자는 자신이 나비를 꿈꾸는지, 나비가 자신의 꿈을 꾸는지를 궁금해한다. 나 역시 시뮬레이션이 나를 꿈꾸는지, 내가 시뮬레이션을 상상하는지가 궁금하다. 하지만 문득 생각하면 장자의 꿈이면 어떻고 나비의 꿈이면 또 어떨까. 내가 시뮬레이션 속에 있다 해도 나를 꿈꾸는 나비 역시 또 다른 나일 것이다. 내가 나 아닌 다른 누군가의 꿈을 대신 꿔줄 필요는 없을 테니 말이다. 그러니 세상이 환상이라도 상관없다고 결론 내리자. 꿈이라면 더 아름답게 꾸고, 환상이라면 더 화려하게 펼치면 될 일이다. 나는 스토리텔러고 확장현실을 펼치는 사업가다. 전체가 시뮬레이션일지도 모를 우주 지구에서 태어났으니 나로서는 직업을 무척이나 잘 정했다.
박성진 스토리허브 대표
매년 미국 자연사 박물관에서는 아이작 아시모프의 기념 토론회가 열린다. 2016년 토론회의 경우 주제가 자못 황당했다. “우리는 시뮬레이션 우주에 살고 있는가?” 너와 나, 세상의 모든 존재들이 컴퓨터가 0과 1로 만들어 내는 가상의 세상에서 살고 있다는 주장이다. 인류가 그렇게나 찬탄하는 사랑의 감정조차 데이터가 만들어 내는 환상이라는 것이다. 영화나 만화에서 나올 법한 주장을 두고 과학자와 공학자들이 진지한 토론을 펼쳤다.
2016년 6월 1일 솔라시티의 회장 일론 머스크도 재미있는 이야기를 했다. 2025년까지 인간을 화성에 보낼 거라고 말하면서 시뮬레이션 우주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우리가 있는 곳이 현실일 가능성은 수십억분의 일입니다.” 경악스러운 기술의 발전 속도가 곧 인간을 실제 현실과 가상의 현실을 구분할 수 있는 세상으로 이끈다는 주장이다. 우리가 모의 현실을 만들 수 있다면 이미 만들어진 모의 현실 속에 우리가 존재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지 않을까.
시뮬레이션 우주론은 철학자이자 옥스퍼드대학 교수인 닉 보스트롬의 제안이다. 기술이 발달하고 컴퓨터의 계산 능력이 발달하면 지적 생명체는 언젠가 우주 전체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기술도 갖게 될 것이다. 기술을 갖기 전 문명이 멸망하거나 기술을 갖고도 시뮬레이션 자체에 흥미를 느끼지 않는 경우는 제외하자. 보스트롬 교수는 어떤 문명이 우주를 시뮬레이션할 수준에 도달하고, 시뮬레이션에 흥미도 가질 가능성을 20% 정도로 본 모양이다. 그 경우 존재들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자신만의 우주를 만들고자 할 것이다. 심지어 그렇게 시뮬레이션된 우주도 자체의 시뮬레이션을 창조할 수 있다. 무수한 시뮬레이션의 연쇄가 만들어질 테니 우리의 현재 우주가 시뮬레이션일 확률이 그렇지 않을 확률보다 훨씬 높다는 것이 보스트롬의 주장이다.
복잡한 과학이론으로 흘러가기 전에 말꼬리를 얼른 익숙한 옛 우화로 돌리자. 장자의 꿈. 봄날 나비꿈을 꾼 장자는 자신이 나비를 꿈꾸는지, 나비가 자신의 꿈을 꾸는지를 궁금해한다. 나 역시 시뮬레이션이 나를 꿈꾸는지, 내가 시뮬레이션을 상상하는지가 궁금하다. 하지만 문득 생각하면 장자의 꿈이면 어떻고 나비의 꿈이면 또 어떨까. 내가 시뮬레이션 속에 있다 해도 나를 꿈꾸는 나비 역시 또 다른 나일 것이다. 내가 나 아닌 다른 누군가의 꿈을 대신 꿔줄 필요는 없을 테니 말이다. 그러니 세상이 환상이라도 상관없다고 결론 내리자. 꿈이라면 더 아름답게 꾸고, 환상이라면 더 화려하게 펼치면 될 일이다. 나는 스토리텔러고 확장현실을 펼치는 사업가다. 전체가 시뮬레이션일지도 모를 우주 지구에서 태어났으니 나로서는 직업을 무척이나 잘 정했다.
2018-01-1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