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눈부신 세계를 꿈꾸며/김이설 소설가

[문화마당] 눈부신 세계를 꿈꾸며/김이설 소설가

입력 2020-05-13 17:28
업데이트 2020-05-14 01: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이설 소설가
김이설 소설가
인터넷 개학을 한 덕에 아이들 옆에서 수업을 같이 보곤 한다. 중학생 첫째아이의 수업보다 6학년 둘째아이의 수업이 재미있는데 특히 사회 과목이 그렇다. 6학년 1학기 사회 1단원은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첫 번째 소단원 제목은 ‘민주주의의 발전과 시민 참여’다. 여기서 4·19혁명과 5·18광주민주화운동, 6·10민주항쟁 등이 나온다. 5학년 때 시작한 한국사 영역의 마지막인 현대사를 다루는 과정인 것이다.

어느 인터넷 서점의 이달 이벤트는 ‘오월의 한국사 읽기’다. ‘지금 읽어야 할 우리역사 추천도서’라는 부제가 달렸다. 소개한 12권 중 ‘만화로 보는 민주화운동’은 아이와 함께 읽었던 책이다. 4권짜리 세트도서로 마영신, 윤태호, 김홍모, 유승하 작가가 각각 제주 4·3사건, 4·19혁명, 5·18민주화운동, 6·10항쟁을 그렸다.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올바르게 기억하고 젊은 세대에게 그날의 뜨거움을 생생히 전달하기 위해 기획’됐다. 올해는 4·19혁명 60주년,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이니 더욱 뜻깊은 책으로 남는다.

초등학교 정규과정에서는 4·19혁명의 의의를 ‘민주주의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졌고, 민주적인 절차와 과정을 무시하고 들어선 정권은 국민 스스로 바로잡아야 한다는 교훈을 얻게 되었다’고 명시한다. 5·18민주화운동은 ‘부당한 권력에 맞서 민주주의를 지키려는 시민들과 학생들의 의지를 보여 주었다’, 6·10민주항쟁은 ‘불법적으로 권력을 잡고 유지하고자 민주주의를 탄압했던 정권에 맞서 싸우는 시민들의 민주화 의지를 보여’ 준 계기라 한다. 다시 말해 우리 사회 여러 분야에서 민주적인 제도를 만들고 그것을 실천해 나갈 수 있게 한 중요한 사건이라는 의미였다.

사는 데 바빠 국경일이 아닌 기념일들은 잊고 지나치기가 쉽다. 당일에서야 뉴스를 통해 알게 돼도 무심히 지나쳤을 가능성이 높다. 문득 봄만 되면 제주와 광주에 향 냄새가 가시지 않는다는 말이 떠오르자 숙연한 마음이 든다. 4월과 5월, 6월은 민주주의라는 빛을 찾는 과정을 겪어야 했다. 혹독한 겨울을 보내야 만나는 봄빛처럼 힘겹게 얻어낸 것이다.

아홉 살에 엄마 아빠 손에 이끌려 촛불시위에 참여했던 아이는 이제 열세 살이 돼 민주화운동에 대해 배우고 있다. 당시 아홉 살 아이에게 이 많은 사람들이 왜 촛불을 들었는지 설명해 주는 일이 어려웠던 기억이 난다. 그때는 “욕심을 부렸다”고,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는 정도로 설명했지만, 이제 아이는 ‘권력’이라는 단어를 알게 됐다.

아이는 수업을 보고 매우 의아해했다. 왜 서로에게 총을 겨누는가. 도대체 권력이 무엇이길래 짐승 같은 일을 저지르게 되는가. 그리고 역사는 왜 되풀이되는가. 나는 이제 아이와 함께 조금 더 심화된 역사책을 읽어도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역사를 배우는 일이란 우리에 대해서 알아가는 과정일 테니까.

아이와 함께 온라인 수업을 듣다 보니 이래저래 이야기할 거리가 생겨 좋다. EBS 수업, 학교 선생님들이 직접 촬영한 수업, 여러 영상 자료 등을 이용한 수업은 여전히 불편하고 불안하지만 그 와중에도 장점은 있었던 것이다(라고 위안을 삼아 본다). 그러나 모두가 이렇게 부모의 보살핌 아래에서 수업을 듣진 못할 것이다. 우리는 왜 이런 차이를 가지게 됐는지, 그 차이가 시간이 지나면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키게 될지에 대해서도 이야기 나눌 수 있는 계기가 돼야 할 것이다.

등교 개학이 또 일주일 미뤄졌다. 어느 부모인들 이 시기가 힘들지 않겠는가. 종식되지 않은 전염병이 우리 곁에 계속 남아 있지만 너무 절망적으로 생각하지 말자. 곧 찬란한 여름 햇살 아래 눈부신 세계를 맞이할 테니까. 우리에겐 피 흘렸던 잔인한 봄을 이기고 멋진 세상을 만든 경험이 있지 않은가.
2020-05-14 30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