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원석 딸기책방 대표
어느덧 이야기의 풍요를 지나 이야기의 홍수 속에 살아가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이야기 천국 같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도 시간이 지나면 시큰둥해지고, 다른 OTT 서비스에 가입해 보지만 그 또한 시간이 지나면 금세 시들해지고 만다. 풍요 속의 빈곤, 홍수 속의 가뭄이다.
바람 쌩쌩 부는 한겨울 아랫목 이불에 발을 묻으면 두런두런 외할아버지의 옛이야기가 시작된다. 손꼽아 보아야 열 편이 되지 않는 레퍼토리가 반복됐지만, 그 뻔한 옛이야기들은 들을 때마다 빠져들게 만드는 마력이 있었다.
외할아버지는 자신에게 집중한 손주의 눈망울을 바라보며 그때그때 소리를 높이기도 낮추기도 했고, 근엄했던 얼굴에 장난스러운 표정을 짓기도 했고, 자칫 지루해질 참이면 줄거리에서 살짝 빠져나가 ‘똥’이나 ‘방귀’ 같은 소재의 이야기로 괜한 우스개를 들려주어 까르르 웃게 만들기도 했다.
최첨단 인공지능도 구현하기 어려운 실시간ㆍ쌍방향ㆍ맞춤형 콘텐츠였던 셈이다. 이야기의 재미도 재미지만 화자와 청자 사이의 친밀감, 친밀한 표정과 목소리를 주고받는 가운데 차곡차곡 쌓여 가는 온기와 행복감은 지금까지 기억에 남아 있다.
이야기가 넘쳐나서일까. 언제부터인지 아이들에게 한 편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어른을 찾아보기 어렵다. 자연히 아이들은 어른의 눈을 보며 이야기를 듣기보다는 핸드폰이나 모니터 위의 영상을 통해 이야기 세계에 진입하는 경우가 많다.
이 또한 세상의 변화이니 막을 방법도 없고 나무랄 일도 아니지만, 우리 세대가 얻었던 친밀감과 행복감을 지금 아이들에게도 전할 방법이 있다면 좋겠다.
애써 옛이야기를 들려주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이 자연스럽지 않다면 그림책을 읽어 주는 것도 좋겠다. 그림책은 화자와 청자, 어른과 아이의 좋은 매개가 될 것이고 앞서 언급한 친밀감과 행복감을 나누기에도 적당한 내용과 형식을 담고 있다.
눈사람 이야기는 지금 계절에 읽기 딱 좋은 소재다. 눈이 펑펑 내리고 공원 위에 소복이 눈이 쌓이고 있을 때 뛰쳐나가고 싶지 않은 어린이가 있을까.
눈을 크게 굴려 몸통을 만들고, 또 하나의 눈을 굴려 몸통 위에 머리를 올린다. 정성껏 눈도 찍어 주고, 입고 그리고, 코도 박아 준다. 나뭇가지로 양팔도 만들어 준다. 반나절 동안 흠뻑 정이 든 눈사람 친구와 헤어져 집으로 돌아간다.
운이 좋으면 며칠 동안 눈사람을 만날 수 있지만, 그래 봐야 며칠 후면 눈사람은 일그러지거나 사라지고 말 것이다. 눈사람의 소멸을 보며 아이는 앞으로 수없이 마주할 이별을 연습하는지도 모르겠다.
레이먼드 브리그스의 ‘눈사람 아저씨’는 눈사람에 대한 아이들의 마음을 그려 낸 작품으로 1978년 출간 이래 많은 어린이의 공감을 얻으며 매해 겨울마다 새로운 독자들과 만나고 있다. 글자가 없는 그림책인 만큼 어른과 아이가 대화를 나누며 책장을 넘기기에 알맞다.
2023-12-2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