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광고 엿보기] 고무신의 원조 ‘경제화’를 아시나요/손성진 논설고문

[근대광고 엿보기] 고무신의 원조 ‘경제화’를 아시나요/손성진 논설고문

손성진 기자
입력 2020-09-13 17:38
업데이트 2020-09-14 01: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매일신보 1919년 6월 13일자에 실린 ‘경제화’ 광고. 광고주가 이성원이 아닌 ‘김태룡상점’으로 돼 있다.
매일신보 1919년 6월 13일자에 실린 ‘경제화’ 광고. 광고주가 이성원이 아닌 ‘김태룡상점’으로 돼 있다.
‘사랑 댓돌 위에는 고무신, 경제화가 네댓 켤레 놓여 있다.’ 1931년에 발표된 염상섭의 소설 ‘삼대’에 이런 대목이 있다. 국어사전은 경제화를 ‘예전에 신던 마른신의 하나. 앞 부리는 뾰족하며 울이 깊고, 앞에 솔기가 없이 한 조각의 헝겊이나 가죽으로 만든 것으로 오른편 짝과 왼편 짝의 구별이 없다’라고 풀이하고 있다. 고무신은 후에 언급하겠지만 구두는 19세기 말에, 고무신은 1910년대 말에 등장했는데 경제화는 그 중간 형태의 신발로 20세기 초에 나왔다. 이미지 사진을 보면 앞부분은 국어사전의 설명과는 달리 뭉툭한 미투리를 닮았고 뒤꿈치 부분은 옆보다 조금 솟아 있다. 고무신과는 비슷하면서도 다른데 고무신의 원조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형태는 오늘날의 남자 고무신과 여자 고무신의 중간쯤 되는 것 같다.

20세기에 접어들어 가죽 구두 보급이 속도를 냈지만, 당시 구두 한 켤레 값은 쌀 몇 가마와 맞먹을 정도로 비쌌다. 이런 현실을 알고 경제화를 처음 고안한 사람이 1905년 인천 경동에서 ‘삼성태’(三盛泰)라는 양화점을 경영하던 이성원이었다. 누구나 값싸고 좋은 신발을 신을 수 있게 하자는 게 이성원의 생각이었다. 경제화는 바닥은 질긴 가죽을, 옆과 앞쪽은 우단(羽緞)이나 천을 사용했다. 모양으로 볼 때 한복에 잘 어울리는 실용적인 신발이었는데 이성원은 세계 각국의 신발을 살펴본 끝에 중국 광둥 지방의 신발에서 경제화를 착안했다고 한다.

이성원은 ‘만능호’(萬能糊)라는 아교와 같은 접착제도 발명해 엄청난 화제를 불러일으켰고 이 접착제는 밑창에 못을 박아 만들던 군화에도 대신 이용됐다고 한다(매일신보 1927년 5월 8일자). 이성원은 ‘만력호’(萬力糊)라는 개량된 접착제를 발명해 도쿄 박람회에서 금상을 받기도 했다. 나아가 만력호로 만든 ‘만력저’(萬力底)라는 튼튼한 신발 바닥도 개발했다.

경제화를 발명한 이성원은 특허 등록도 했지만 그의 사업에 돈을 댄 전주(錢主)가 자신의 이름으로 특허를 등록하고 모조품들이 나도는 바람에 사업에 실패하고 말았다. 실제로 당시 신문을 보면 김계연, 이동호라는 이름의 사람도 경제화를 발매한다는 광고를 실었다. 이성원은 이들을 상대로 소송을 냈지만 패소한 뒤 다시 구두 제작으로 눈을 돌렸다가 접착제를 발명하기에 이른 것이다. 개량한 접착제 만력호는 미국에서도 독일 제품보다 낫다는 호평을 받았고 이성원은 미국으로 건너가 상담을 벌인 끝에 수출 판로를 뚫기도 했다. 특허에서 풀린 경제화라는 신발은 다른 여러 사람도 제조해 판매했는데 1941년 3월에 ‘경제화로 폭리’라는 제목의 기사가 게재된 것을 보면 광복 당시까지도 시중에 팔린 것으로 추측된다.

sonsj@seoul.co.kr

2020-09-14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