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광고 엿보기] 포항 포도로 만든 포도주 광고

[근대광고 엿보기] 포항 포도로 만든 포도주 광고

손성진 기자
입력 2020-11-29 17:36
업데이트 2020-11-30 03: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1921년 7월 25일자 매일신보에 게재된 ‘미쓰와 와인’ 광고.
1921년 7월 25일자 매일신보에 게재된 ‘미쓰와 와인’ 광고.
“정신의 상쾌, 혈행의 양호, 원기의 충일(充溢), 동작의 활발, 병고(病苦)의 제거, 병약의 회복, 체력의 증진 등에 효력이 있고, 식욕을 촉진하고, 소화를 돕고, 피로를 없애 주고, 쇠약을 막고, 정력을 왕성히 하고….”

보약 광고 같지만 술 광고다. 일제강점기에 판매했던 ‘미쓰와 포트 와인’의 광고 속에 있는 내용이다. 와인(포도주)을 만병통치약처럼 과장해서 광고하고 있다. 포트 와인은 발효 중인 와인에 브랜디를 첨가한 포르투갈식 주정 강화 와인을 뜻한다. 알코올 도수가 18~20도로 일반 와인보다 5도 이상 높은 독한 술인데 마치 몸에 좋은 보약인 것처럼 선전했다. ‘미쓰와 기나철(規那鐵) 포도주’라는 와인도 함께 판매됐는데 ‘완전한 흡수성과 동화성으로 효력이 비교할 수 없이 빼어난 자양강장 음료’라고 광고했다. 기나는 키나라는 열대식물 껍질에서 추출한 말라리아 특효약인 키니네를 뜻하는 단어로 해열 및 강장제로 쓰였고, 철은 빈혈에 좋은 물질이다.

미쓰와(미츠와ㆍ三輪) 포도주는 1920년대에 경북 포항 동해면과 오천면 일대에 있던 미츠와 포항농장에서 생산한 포도로 만들어졌다. 당시 미츠와 포도농장은 3만명이 넘는 조선인을 고용하고 넓이가 200만㎡에 가까웠던, 동양에서 가장 큰 포도농장이었다고 한다. 일제는 당시 유럽에서 포도를 수입해 포도주를 만들었는데 제1차 세계대전으로 포도 수입이 어려워지자 데라우치 조선 총독이 사업가 미쓰와 젠베이(三輪善兵衛)에게 포도농장을 운영해서 포도주를 만들어 보라고 권했고 미쓰와가 1918년 2월 국유지를 불하받아 농장을 설립했다고 한다. 광복 후에도 이 농장에서는 ‘삼륜포도주공사’라는 이름으로 포도주를 계속 생산했으며 1952년에도 어느 신문에 포도주 광고를 게재하기도 했다. 이 농장의 포도주는 1960년대까지도 ‘포항 포도주’로 불리며 시중에 판매됐지만, 기술력의 한계를 드러냈고 1966년에 방부제 과다 사용이 문제가 돼 문을 닫은 것으로 알려졌다. 포도농장 자리에는 현재 해병대교육훈련단과 포항비행장이 들어서 있다.

미츠와 포도농장은 “내 고장 7월은/ 청포도가 익어 가는 시절/ 이 마을의 전설이 주저리주저리 열리고/ 먼 데 하늘이 꿈꾸며 들어와 박혀”로 시작하는 이육사의 시 ‘청포도’의 배경이기도 하다. 육사의 고향은 경북 안동인데 시에 나오는 ‘푸른 바다’도 없고 청포도도 없다. 잦은 옥살이로 몸이 약해져 폐결핵을 앓았던 육사는 1936년 무렵 요양을 하러 포항으로 가서 머물렀는데 포도농장을 방문해 시상을 떠올리고는 이 시를 지었다고 전해진다. 이런 인연에서 동해면 사무소 앞과 호미곶 등 포항 여러 곳에 ‘청포도’ 시비가 세워져 있다.

손성진 논설고문 sonsj@seoul.co.kr
2020-11-30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