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용진 고려대 역사교육과 교수
19세기 식민지 경쟁에서 영국의 가장 큰 경쟁 세력은 프랑스였다. 이집트에서 남하하며 식민지를 정복하던 영국은 모로코·알제리에서 마다가스카르까지 횡단하며 식민지를 장악하던 프랑스와 충돌 직전까지 갔다. 이것이 바로 1898년의 파쇼다 위기였는데 드레퓌스사건 등 국내 문제로 시끄럽던 프랑스의 양보로 영국은 남아프리카 장악에 박차를 가할 수 있었다. 1881년 남아프리카 보어인과 충돌을 빚은 적이 있던 영국은 1899년에 본격적인 전쟁을 시작했다. 이른바 ‘보어전쟁’이다.
보어인은 16세기 이후 남아프리카에 정착한 백인 후손의 통칭인데 네덜란드어로 ‘농민’을 뜻한다. 이들은 대부분 네덜란드 출신이었지만 영국이나 프랑스 등 유럽 내 다른 지역 출신들도 많았다. 300년 동안 남아프리카에서 토착화한 이들 보어인은 19세기 중반에 가서야 트란스발공화국과 오라녀자유국이라는 국가를 세웠다. 하지만 1884년 남아프리카에서 새로운 금광이 발굴되고 유럽 각국의 식민지 경쟁이 격화되면서 영국은 남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기득권을 확고히 장악하고자 했다. 이렇게 해서 예전에 정착한 백인과 새로 온 백인 간의 전쟁이 벌어졌다.
3년 동안 벌어진 보어전쟁은 끔찍하고 잔혹한 전쟁이었다. 막대한 병력을 동원한 영국은 게릴라전으로 응수하는 토착 보어인에게 가까스로 승리를 거두었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이루어진 무자비한 초토화 전술과 (훗날 나치 독일에서 되살아나게 될) 열악하고 비인간적인 강제수용소 정책은 대영제국의 도덕성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다. 그런데 보어전쟁이 낳은 결과가 이렇듯 참혹하고 부정적인 것만 있는 것은 아니었다.
전쟁 초 현재 마히켕이라 부르는 소도시에 주둔하던 영국군은 217일이나 이어진 보어군의 포위 공격을 막아 낸 적이 있다. 이때 병력에서 열세였던 영국군은 일종의 ‘소년군’을 조직해 보급품 관리나 간호, 전령 및 정찰 활동에 활용했다. 아이들은 아직 정식 군인이 될 수 있는 체격을 지니지는 않았기에 비교적 쉽게 보어군에 대한 전령 및 정찰 업무를 수행할 수 있었다.
당시 지휘관이었던 로버트 베이든 포월은 전쟁 직전에 정찰 교본을 집필하기도 했다. 그 책은 전후 그의 성공담과 더불어 영국 소년 단체에서 베스트셀러가 됐다. 이에 부응해 그는 1908년 ‘소년을 위한 정찰활동’이라는 책을 집필하기도 했다.
이후 전 세계에서 스카우트운동 열풍이 일었고, 식민지 조선에서도 1922년 ‘조선소년군’이 조직되기에 이르렀다. 참혹한 재앙이었던 보어전쟁의 끝자락에 스카우트운동이라는 희망이 꽃피었다고 해야 할까. 문득 판도라의 상자가 떠오른다.
2023-08-23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