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부동산에도 ‘블프’가 있었으면/신융아 경제부 기자

[오늘의 눈] 부동산에도 ‘블프’가 있었으면/신융아 경제부 기자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15-03-25 00:10
수정 2015-03-25 01: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학생 때 어학연수 겸 미국 뉴욕에서 1년간 지낸 적이 있다. 쇼핑의 천국으로 불리는 뉴욕에서 가장 기대되는 날은 역시 ‘블랙프라이데이’였다.

이미지 확대
신융아 금융부 기자
신융아 금융부 기자
추수감사절이 끝난 뒤 금요일 전후로 시작되는 이 핫한 이벤트는 많은 기업들이 소비자들의 지갑을 생각해 주듯 전폭적인 세일을 감행했다. 구찌, 프라다, 샤넬 등 명품도 예외는 아니어서 수업이 끝나면 삭스 피프스 애비뉴(명품 상점이 즐비한 쇼핑 거리)로 달려가 줄을 서는 한국 유학생들이 많았다.

기자 역시 종종 명품관 구경을 했지만 그것이 끝내 결제로 이어진 적은 없었다. 아무리 세일을 한들 수십만원에 이르는 그것들이 대학생 신분에는 차마 닿을 수 없는 거리에 있었기 때문이다.

24일 안심전환대출이 출시됐다. 시중은행 곳곳에서는 가계부채 무게를 조금이라도 덜어 보려는 사람들이 줄을 서서 기다리는 등 진풍경이 펼쳐졌다. 하지만 그 행렬 또한 집 있는 사람들에게나 해당하는 얘기일 뿐, 기자와는 상관 없었다.

최근 금리가 역대 최저치를 찍으면서 지금이 집을 살 마지막 찬스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지만, 서울에서 생활하는 대부분의 직장인들에게 이는 현실감 없는 이야기일 것이다.

저금리로 집을 사는 일보다 기자에게 더 절실한 것은 만료를 앞둔 전세 계약을 연장시키는 일이다. 요즘은 귀하다는 전셋집인데, 금리가 이렇게 떨어졌으니 다음 계약 때에는 월세로 바꿔 달라고 할지, 전세 보증금을 얼마나 더 올려 달라고 할지 걱정이다.

전셋값이 집값에 맞먹는 수준이니 이참에 조금 더 보태 집을 사는 게 낫다지만, 그게 어디 말처럼 쉬울까.

몇 년 전 결혼해 서울 외곽 전세에 살고 있는 한 지인은 이번 기회에 집을 마련할까 고심하다가 결국 2억여원의 전세 대출금을 갚는 데 주력하기로 했다고 한다. 아이도 계속 크는 마당에 매달 수십만원의 원리금을 수십년 갚다 보면 하우스푸어가 되기 십상이라는 거다.

서울의 평균 집값은 5억 6000만원. 직장인이 한 달에 100만원 모으기도 쉽지 않은데, 단순히 계산해 100만원씩 40여년을 꼬박 모아야 5억원이 된다.

40여년 후 집값은 그대로 있겠는가. 아무리 대출 금리가 싸다 해도 이런 상황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는다. 계산을 하고 보면 집은 어느덧 닿을 수 없는 거리에 있다.

한 부동산 전문가에게 “그럼 우리 같은 평범한 직장인들은 어떻게 집을 사느냐”고 물었더니 그가 진지하게 답했다. “부모님 대출을 받든가, 아니면 월세 삶을 사는 거죠. 기본 가격이 비싼데 직장인 월급으로 돈 모아서 절대 집 못 사요.”

다시 생각해 보면 블랙프라이데이 때 명품은 끝내 살 수 없었지만, 열심히 돌아다니면 중저가 매장에서 꽤 괜찮은 옷이나 신발을 ‘득템’할 수 있었다.

소비자는 저렴하게 물건을 살 수 있고, 기업은 재고를 남기지 않으니 블랙프라이데이는 가히 매력적이고 합리적인 거래 이벤트라 할 수 있겠다. 우리나라 부동산에도 공급자와 수요자 모두 만족할 만한 이런 ‘부동산 프라이데이’가 없을까.

yashin@seoul.co.kr
2015-03-2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애도기간 중 연예인들의 SNS 활동 어떻게 생각하나요?
제주항공 참사로 179명의 승객이 사망한 가운데 정부는 지난 1월 4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습니다. 해당기간에 자신의 SNS에 근황사진 등을 올린 일부 연예인들이 애도기간에 맞지 않는 경솔한 행동이라고 대중의 지탄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애도기간에 이런 행동은 경솔하다고 생각한다.
표현의 자유고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안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