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청화 안료로 그림을 그린 망우대(忘憂臺)명 전접시에도 꽃이 있다. 접시 오른쪽 아래는 국화과의 꽃 몇 송이가 보이고, 위에는 벌이 그려졌다. 꽃은 우리네 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개망초나 금계국을 닮았다. 꽃향기를 맡고 호박벌 같은 통통한 벌이 날아든다. 그릇 가운데 반듯한 정자체로 망우대라고 썼다. 전접시는 테두리가 띠처럼 달린 접시를 말한다. 조선 전기인 15세기 말 경기 광주에서 만든 질 좋은 고급 백자다.
청화백자 망우대명 전접시, 15세기 말, 지름 16㎝, 리움 소장.
처음에는 장식적인 도안을 그리다가 점차 그림이 자유분방해졌다. 그림을 잘 그리는 전문 화가가 도자기에도 그림을 그렸다. 조선에서는 솜씨 좋은 왕실 소속의 도화서 화원이 도자기 가마에 내려가 그림을 그렸다. 값비싼 안료로 그리는 것이니 붓질 한 번 삐끗하면 곤란하다. 조선 전기에는 화원이 되기 위해 과거시험처럼 그림도 시험을 봐야 했다. 시험으로 선발된 화원들이니 당연히 솜씨가 좋았고, 비싼 청화를 버릴 위험도 줄었다. 조선은 사대부들의 검소한 취향을 반영해 순백의 백자를 만들었다고 하지만 사대부들도 눈이 있고 감각이 있다. 수입품인 청화값이 비싸다고 세종 때는 국내에서 청화를 찾으라고 명을 내렸지만 쉽지 않았다. 오히려 청화백자는 조선 자기의 대세로 등극한다.
청화백자 용봉문접시, 명, 16세기, 프랑스 기메박물관 소장
2023-04-03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