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영의 의(醫)심전심] 나쁜 소식 전하기

[김선영의 의(醫)심전심] 나쁜 소식 전하기

입력 2021-06-08 20:20
업데이트 2021-06-09 01: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선영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
김선영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
의사가 가장 보람을 느낄 때는 언제일까. 누가 뭐래도 치료가 잘되어 환자의 삶이 더 나아졌을 때이다. 환자가 ‘고맙다, 생명의 은인이다’라며 다소 과장되게 호들갑을 떨더라도 계면쩍긴 하지만 그리 싫지는 않다. 종양내과의사인 나는 CT 영상에서 줄어든 종양을 보여 주며 설명할 때가 가장 즐겁다. 몇 퍼센트나 줄었는지 계산하는 것은 이 직업에서 얻는 몇 안 되는 쾌감 중 하나다. 나중에 언제 또 커질지는 모르지만 일단 지금의 기쁨을 함께 나누고 싶다. 항암제가 효과가 아주 좋으면 대개 환자가 먼저 안다. 통증이 줄어들고 숨쉬기가 편해지고 대소변이 잘 나온다. 한결 편해진 표정으로 환자가 진료실로 들어서는 순간 직감한다. 약이 잘 들었구나. 만세!

반면 치료가 효과가 없다거나, 재발했다거나, 죽음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말은, 아마도 의사가 가장 하고 싶지 않은 말이 아닐까. 그러나 암 진료를 하는 이상은 종종 그 이야기를 해야 하는 무거운 짐을 짊어지게 된다. 이 이야기는 오래 걸린다. 이런 분을 진료하게 되면 그 이후 진료 순서는 한없이 밀리게 된다. 즉 그날의 진료 속도는 이 ‘나쁜 소식’을 얼마나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하느냐에 달려 있다. 많은 환자들은 이 청천벽력 같은 소식에 화를 내기도 하고, 소리를 지르기도 하고, 울기도 한다. 환자가 일견 평온해 보이는 경우엔 진료를 빨리 마칠 수 있어 순간적으로는 안심이 되지만 실은 오히려 더 걱정이 된다. 암이 진행됐다는 소식을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듯했던 환자가 이후에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는 소식을 듣고 망연자실해진 적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증질환의 진단, 치료 실패, 임종 등 ‘나쁜 소식’에 대해 말하는 것은 엄연한 의사의 책무이기도 하다. 누구나 자신의 의학적 상황에 대해 알 권리가 있고, 상황에 대해 알아야 그다음을 이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준비되지 않은 죽음은 사랑하는 이들에게 더 큰 아픔과 죄책감을 남긴다. ‘나쁜 소식 전하기’는 의사 국가시험의 실기 항목으로 들어 있어서, 의대생들은 암을 진단받은 시나리오에 따라 행동하는 모의환자를 대상으로 실습을 한다. 그들은 분위기를 잡고 환자를 안정시킨 후 조심스레, 그러나 명확히 나쁜 소식을 전달하는 것까지는 잘 하는데, 이후 모의환자의 감정적 반응에 놀라기도 하고 겁을 먹고 당황하기도 한다. 그들을 보며 이 일이 실제로는 환자에게나 의사에게나 얼마나 감당하기 어려운 일인지를 새삼 깨닫게 된다.

그렇다고 나쁜 소식을 전하지 말아야 하는가. 물론 받아들일 준비가 안 된 환자에게 갑자기 절망적인 진실을 들이미는 것은 폭력일 수 있다. 어떤 이들은 ‘진실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환자에게 희망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그것은 ‘희망’을 구실로 힘든 설명을 회피하는 핑계가 된다. 나쁜 소식을 들을 준비가 안 된 환자에게는 나쁜 소식을 숨기는 것이 아니라 들을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우선 도와주어야 한다. 나쁜 소식 전하기는 정서적 교감을 차단하기는커녕 누구보다도 그 교감을 놓지 않으면서 그 분노와 슬픔을 다 받아 안을 수 있어야 할 수 있는 일이다.

일단 이런 어려운 대화는 충분한 시간 동안 환자와 상호작용하며 이끌어 나가야 하는데,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하다. 나는 그래서 진료비가 조금 더 높긴 하지만 15분간 진료를 할 수 있는 ‘심층진료’를 주로 말기 암환자들에게 적용해 보려고 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원무과에서 ‘건강보험 정책상 심층진료는 처음 진료를 받는 초진, 신환자에게만 적용되고 이전에 진료했었던 재진 환자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답이 돌아왔다. 15분도 사실 부족하고 20~30분에 걸친 가족면담이 필요한 일인데 그렇게 하지 못하고 있다. 제도적인 보완이 가능하다면 환자들이 조금이라도 마음의 상처를 덜 받고 힘겨운 시기를 견뎌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2021-06-09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