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과학 따라잡기] 독도 해양생물 다양성/김윤배 KIOST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대장

[요즘 과학 따라잡기] 독도 해양생물 다양성/김윤배 KIOST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대장

입력 2021-08-16 20:20
업데이트 2021-08-17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독도해양연구기지의 가치

울릉도에는 독도 영토주권 강화 차원에서 설립된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가 있다. 울릉도와 독도의 해양환경 변화와 생태계 보전을 위한 현장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독도는 영토로서뿐만 아니라 다양한 해양생물이 서식하고 있어 해양생태계의 오아시스로도 가치가 있다.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독도 연안엔 해조류가 풍부하고 계절과 수심에 따라 다양한 어류상이 나타난다. 최근 독도 해양생물 다양성을 보여 주는 발견이 잇따르고 있다.

기지는 설립 후 약 100차례에 걸친 현장 조사로 비늘베도라치과의 한국 미기록종을 독도 해역에서 발견하고 ‘동해비늘베도라치’로 이름 붙였다. 이 어종은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관심종으로, 일본과 대만 해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에서는 독도 서도 연안의 수중 동굴인 혹돔굴 인근에서 처음 발견·채집됐다.

지난해 말에는 독도 서도 혹돔굴 주변 수심 20m에서 멸종 위기 종인 해마를 발견했다. 해마의 독도 서식 확인은 동해 해양생태계의 오아시스로서 독도의 생태학적 가치를 보여 준 사례다. 또 일본, 대만, 인도네시아, 호주 북부 등 따뜻한 바다에서 서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와 남해안에서만 관찰됐던 아열대성 희귀어종 ‘부채꼬리실고기’를 독도 해역에서 처음 발견하기도 했다. 기지는 내년 취항 예정인 독도 전용 연구선으로 지속적인 독도 해양생태계 조사를 통해 과학으로 독도를 지켜 나갈 것이다.

2021-08-17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