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각 동양대 교양학부 교수
아키히토 일왕은 이번 방문에서도 일본인 전몰자 위령비에 헌화하기 전 먼저 필리핀 희생자 묘지를 참배했다. 그는 대통령궁에서 열린 환영 만찬에서 필리핀인 희생자에 대해 언급하며 “우리 일본인이 결코 잊어서는 안 되는 일”, “전쟁을 겪지 않은 젊은 세대가 전쟁에 대한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는 등 원론적이지만 일본의 전쟁 책임을 강조했다.
한국에서 일왕의 필리핀 방문 뉴스는 별로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았지만 우리로서는 간과해선 안 될 점이 있다. 내각책임제인 일본에서 정부를 대표하는 총리가 식민지배와 침략전쟁을 사과해도 정권이 바뀌거나 하면 이를 뒤집는 각료 등의 망언과 야스쿠니 신사 참배 같은 행동이 반복돼 과거사 문제가 제대로 청산되지 않고 있다.
일본의 과거사에 대한 사과는 총리보다 오히려 일왕(1945년 일본 패전 후 일왕은 ‘상징 천황’으로 격하됐지만)으로부터 받는 것이 우리로서는 더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거기에다 아키히토 일왕은 옛 일본군 통수권자이자 대원수로 일본의 침략전쟁을 진두지휘했던 히로히토(裕仁) 일왕의 아들이다.
일본인 사망자 약 310만명을 포함해 약 2300만명의 희생자를 낸 침략전쟁의 정점에 있었던 히로히토 일왕은 한국 대통령이 처음 공식 방일(전두환·1984년)했을 때 “금세기의 한 시기에 양국 간 불행한 역사가 있었다”는, 가해자가 누구인지조차 알 수 없는 애매모호한 발언으로 끝냈다. 아키히토 일왕도 1990년 방일한 노태우 대통령에게 “통석(痛惜)의 염(念)을 금치 못한다”는 사전에도 없는, 유명 작가가 만들어 준 말로 유감의 뜻을 표했을 뿐이다.
일본의 침략으로 가장 고통을 받은 나라는 35년간 식민 치하에서 신음한 한국이다. 아키히토 일왕은 이미 일본의 침략전쟁(만주사변, 중일전쟁) 당사국인 중국을 방문했고(1992년) 이번에 최대 격전지였던 필리핀도 방문했다. 이제 남은 나라는 한국뿐이다. 그의 ‘마지막 과제’는 한국 방문이라고 할 수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임기 중 일본을 공식 방문해 일왕 방한을 정중히 요청하고 아키히토 일왕이 답례로 방한하기를 기대해 본다. 일왕의 방한이 성사돼 그가 필리핀 무명용사묘를 참배한 것과 같이 서울 동작동 국립묘지를 찾아 항일순국선열 묘역에 참배하고 만찬 석상에서 식민지배에 대해 보다 진전된 형태의 사과 발언을 하는 것을 기대해 본다.
거기에다 일왕 부처가 시간을 내어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도 만나 사과하고 위로한다면 양국 간 과거사 문제를 결자해지하는 의미도 있을 것이다.
지난해 한·일 수교 50주년을 맞은 한·일 양국은 교역, 문화, 인적교류 등에서는 괄목상대할 만한 진전을 이뤘으나 과거사 문제를 둘러싸고는 계속 삐걱거리고 있다. 지난해 말 양국 정부가 어렵사리 위안부 문제에 합의한 이후에도 냉담한 반응이다. 일본에선 위안부 동원에 강제성이 없다는 주장을 유엔에 보내는 등 아베 정권 출범 이후 악화된 한·일 관계는 쉽사리 회복되지 않고 있다.
물론 일왕의 한국 방문은 당사자의 의사와 일본 정부의 입장을 고려해 결정될 것이다. 무엇보다 아키히토 일왕의 방한은 양국에서 분위기가 성숙되지 않고는 성사되기 어려울 것이다.
한·일 간 과거사 문제가 양국 관계의 발목을 잡고 있는 만큼 일왕의 방한은 미래지향적인 양국 관계 구축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80대 초반인 아키히토(1933년생) 일왕의 해외여행이 가능할 때 방한이 성사될 수 있도록 특히 양국의 지도자는 물론 사회지도층이 그 같은 분위기 조성을 위해 앞장서야 한다.
2016-02-10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