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동쪽 벽에 기대어
몸을 녹이고
1933년 11월 1일.
꾀죄죄한 젊은이 하나
낡은
군복 입고
꼼지락거리며 몸을 긁고
뚱뚱한 흑인 여자는
근처
노란 집 창문에서
몸을 쭉 빼며 하품한다,
좋은 날씨에다 대고.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 ‘햇살에 목욕하는 사람들’
새해 첫 칼럼을 쓰며 시의 시선이 무엇인지, 왜 우리는 시를 읽는지 새 마음으로 생각한다. 시의 시선은 세심히 들여다보는 눈이다. 의사 시인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 이민자의 아들로 태어나 시인이 되고 싶었으나 부모의 청을 따라 의사가 된 그는 어느 번듯한 도시가 아니라 고향으로 돌아가 가난한 이들을 지키는 삶을 살았다. 출퇴근 길에 왕진 오가며 마주하는 이들을 살뜰하게 살폈다. 청진기로, 또 언어로.
대도시의 변두리에서 가난한 이민자들의 몸을 고치며 시인은 이처럼 세심한 관찰자의 눈으로 우리 앞에 그들을 보여 준다. 무심한 듯 무심하지 않은 시선. 1933년 겨울 대공황의 여파로 얼어붙은 거리의 가난한 얼굴은 2023년의 겨울 이 거리의 가난한 얼굴과 겹쳐진다.
어쩌면 그 시절보다 지금이 더 궁핍할는지 모르겠다. 떠돌이 거지와 전쟁에서 갓 돌아온 젊은이는 햇살에 목욕이라도 하지만, 우리의 이 거대하고 화려한 도시의 쪽방촌 좁은 골목에는 햇살도 들지 않을 것이기에.
시를 쓰고 싶다며 시 쓰기의 방법론을 질문하는 앳된 학생들에게 자주 말한다. 시가 무엇인지 궁금하면 무엇이 시가 아닌지 생각해 보라고. 당연하고 익숙한 방식으로 반복하는 언어는 시가 아니다. 가령 아버지의 피로한 나날을 새기고 싶은 아들이 “아버지의 처진 어깨를 보면…”이라고 하면 그 구절은 언어의 구습에 머물러 있어 다시 생각해 봐야 한다. 윌리엄스는 쉬운 영어를 시행과 단어 배열을 새롭게 하는 방식으로 우리에게 새로운 시선을 나누어 준다.
그렇게 우리는 배운다. 시인의 시선은 먼 어제를 살다 간 존재를 가까이 끌어당겨 생명을 불어넣듯 되살린다. 그 담백한 언어는 오늘 우리가 뭘 보아야 하는지 알려준다. 시는 살핌의 언어다. 몸의 상처, 아픈 마음, 세상의 진창을 어루만지는 언어다. 시인은 현실의 기록자, 시절의 아픔을 증언하는 자다. 애써 사는 이들을 다시 살리는 이다. 시인의 언어는 햇살과도 같다.
햇살처럼 차별 없이 존재의 생명력을 환기하는 언어다. 청소를 하다 창문 열고 하품하는 어느 여인의 평범한 일상을 이토록 사랑스럽게 기록하는 시선에 힘입어 나도 오늘 창문을 열고 햇살에 목욕을 한다. 작은 존재를 세심히 보듬는 시의 시선은 진정으로 큰 정치를 상상하게 하는 가능성의 언어다.
2023-01-1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