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꽤 오래 보고 있는 분이 진료실에서 한 말이다. 평소 정말 많은 이야기를 하던 분이었다. 가족 등의 관계에서 억울하고 서운했던 일, 지내며 겪은 화나고 어이없는 일, 거슬러 올라가 비슷한 맥락의 어릴 때 일까지 합치면 들어야 하는 정보량에 듣는 머리가 차 버리고는 했다.
그러던 분이 할 말이 없다는 것이다. 혹시 내가 뭘 실수한 게 있었던 걸까? 아니었다. 이건 좋은 신호였다. 실상은 이랬다.
“뭔 일이 없는 건 아니에요. 전과 달리 지금 떠오르는 게 없네요. 신기하게.”
전에는 해야 할 얘기가 무척 많았다. 기억과 감정이 생생하게 실시간으로 떠올라 가득했다. 그런데 이번엔 한 달 만에 온 것인데도 굳이 내게까지 얘기할 정도인 일은 기억에 남지 않은 것이다.
그것은 일상에서 벌어지는 일이 사건 기억으로만 저장될 뿐 감정적 기억으로는 남지 않기 때문이다. 기억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시험공부처럼 정보가 되는 것은 일반적 기억으로 시간이 지나면 새로운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지워진다. 중복을 막고 기억 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된다.
반면 감정적 기억은 생존과 관련돼 있다. 억울한 일, 놀란 일, 화가 난 일, 무서운 일은 모두 위험할 수 있는 일이다. 이건 금방 잊어버려서는 안 된다. 게다가 저 멀리 있었던 일로 느껴져도 안 된다. 마치 지금 벌어지는 것 같아야 재빠르게 반응해 위험에서 벗어난다. 그래서 감정적 기억은 시간이 지나도 오래 그리고 생생하게 저장돼 있다가 호출된다.
우울이나 불안으로 진료를 받는 분들은 특히 쌓인 감정적 기억이 많다. 자신의 현재 감정을 설명하기 위해 예민해진 상태라 경험하는 일들을 객관적 사건이 아니라 주관적으로 해석할 감정이 섞인 일로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처음에 진료를 받으러 올 때에는 할 얘기가 무척이나 많다. 그러다가 우울과 불안이 줄어들고 일상생활을 잘 해내기 시작하면서 이후에 만나는 일들은 전과 달리 감정적 기억이 아닌 사건 기억으로만 저장됐다가 잊혀질 수 있게 된다. 그래서 돌아보니 지난 기간에 특별히 기억해 보고할 만한 일이 없다고 말한 것이다.
이게 삶이 정상으로 돌아가는 과정이라 생각한다. 살면서 사건사고는 피할 수 없다. 속상한 일에 속상한 것은 정상이다. 다만 그 일을 오래 담아 둘 만한 견디기 힘든 분노, 불안의 감정과 함께 저장하면 그 일은 평생 잊지 못할 비극이 돼 버린다. 난 그 주인공이 된다. 반면 일어날 만한 일이 일어났을 뿐 삶의 흐름과 안전에 치명적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고 볼 수 있다면 그 일은 보통의 사건이 된다. 그렇게 볼 수 있으면 얼마 지나면 멀게 느껴지고, 곧이어 그 일은 잊혀질 것이다.
좋은 감정적 기억을 추억이라고 이름 붙이며 차곡차곡 쌓는 것은 나를 지켜 주는 방어막이 돼 준다. 그러나 나쁜 일은 가급적 감정적 기억의 저장고에 넣지 않을 수 있도록 감정을 싣지 않게 처음부터 노력하는 게 좋다. 잊혀지고 흘러가게 두는 게 긴 흐름으로 볼수록 현명한 이유다.
2023-10-27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