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의 언파만파] 광화문 현판의 글씨

[이경우의 언파만파] 광화문 현판의 글씨

이경우 기자
입력 2020-05-24 22:20
업데이트 2020-05-25 01: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어색(語塞)하다.’ 서먹하다는 말이다. 낯모르는 사람과 있게 되면 아무래도 어색해진다. 대답이나 변명이 구차하고 궁색하다는 뜻이기도 하다. 뭔가를 감추고 하는 답변은 옹색하고 어색해 보인다. 격식이나 규범, 관습에 맞지 않아 어울리지 않는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갓을 쓰고 넥타이를 매거나 추리닝 바지에 신사복 재킷을 입으면 어색하다.

1968년에 복원된 광화문은 어색했다. 복원이라기보다는 옛 모습에 가깝게 새로 짓는 쪽이었다. 기준이 그런 듯했다. 그렇다 보니 치밀하지 못했다. 재료는 나무 대신 현대적인 철근콘크리트가 선택됐다. 한국전쟁 중에 타 버린 현판은 다시 제작할 수밖에 없었다. 한글운동이 한창이던 시절이었다. 글씨는 당시 대통령이 한문이 아니라 한글로 썼다. 현판 논란의 불씨를 낳는 일이 됐다.

이전의 현판은 1865년 고종 때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훈련대장이었던 임태영이 쓴 것이었다. 그가 당대의 명필이어서 붓을 든 것은 아니었다. 광화문(光化門)뿐만 아니라 동쪽의 건춘문(建春門)과 서쪽의 영추문(迎秋門), 북쪽의 신무문(神武門) 현판도 그 시절의 무관들이 썼다.

광화문을 원형대로 복원해야 한다는 논의가 일었다. 이전 현판 교체를 놓고 정치적 논란이 있었고, 한글이냐 한자냐의 논쟁이 불거졌다. 2006년부터 복원 공사가 시작됐다. 복원 기준으로 삼은 시기는 고종 중건 당시였다. 2010년 8월 15일 일반에 공개된 광화문에는 철근콘크리트가 사라졌다. 본래대로 목재로 된 건축물이 세워졌고, 한자로 쓰인 현판이 붙었다. 그러나 곧바로 현판에 금이 가는 바람에 다시 제작하게 됐다. 한글과 한자, 서체에 대한 논쟁이 이어졌다. 검은색 바탕에 금색 글씨로 된 한자 현판이 올해 다시 걸린다.

한 시민모임이 광화문 현판을 훈민정음체로 바꾸자고 한다. ‘광화문 현판을 훈민정음체로’라는 시민모임은 최근 시대정신에 맞게 한글 현판이 걸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광화문광장이 단순한 광장이 아니라 한국의 얼굴이 됐다고 한다. 이 광장은 시민들이 역사를 써 온 곳이고, 여기에 있는 광화문의 현판이 한자여서는 시대와 맞지 않는다고 한다. 복원이 아니라 새로운 시대의 중건이라고도 말한다.

문화재청은 다른 시선이다. 원형대로 복원하는 게 가치를 살리는 것이라고 본다. 복원은 말 그대로 옛날의 모습대로 되돌리는 것이라고 한다. 어떤 선택이 어색하지 않고 잘 어울리는 것일까. 무엇이 전통과 시대에 부합하는 것일까.

wlee@seoul.co.kr
2020-05-25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