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이켜 보면 시골에서 초등학교를 다니던 무렵의 한파는 정말 매서웠다. 당시는 모두가 가난하게 살던 개발연대였다. 그래서 ‘그 겨울의 추위’가 지금까지 을씨년스러운 추억으로 남아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때 아이들이 흔히 입던 값싼 내복을 작고한 기형도 시인은 ‘죽은 맨드라미처럼 빨간 내복’이라는 시구로 되살렸다.
지구 온난화로 예전보다 덜 추워진 탓일까. 아니면, 차를 타느라 옥외에서 걷는 일이 드물기 때문일까. 근래엔 한겨울에도 내복을 입는 이가 드물다고 한다. 며칠 추운 날씨가 이어지면서 결국 옷장 속의 내복을 찾았다. 왠지 갑갑하게만 느껴져 입기를 꺼리던 터라 하의만 입어 보았다. 막상 입어 보니 착용감도 그다지 나쁘지 않았다.
내복은 실내 온도를 6∼7도가량 낮출 만한 보온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단다. 그만큼 난방비도 줄일 수 있을 게다. 남루한 내복을 입던 유년기 때나, 지금이나 기름 한 방울 안 나는 나라의 국민임은 마찬가지라는 생각이 문득 뇌리를 스친다.
구본영 논설위원 kby7@seoul.co.kr
지구 온난화로 예전보다 덜 추워진 탓일까. 아니면, 차를 타느라 옥외에서 걷는 일이 드물기 때문일까. 근래엔 한겨울에도 내복을 입는 이가 드물다고 한다. 며칠 추운 날씨가 이어지면서 결국 옷장 속의 내복을 찾았다. 왠지 갑갑하게만 느껴져 입기를 꺼리던 터라 하의만 입어 보았다. 막상 입어 보니 착용감도 그다지 나쁘지 않았다.
내복은 실내 온도를 6∼7도가량 낮출 만한 보온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단다. 그만큼 난방비도 줄일 수 있을 게다. 남루한 내복을 입던 유년기 때나, 지금이나 기름 한 방울 안 나는 나라의 국민임은 마찬가지라는 생각이 문득 뇌리를 스친다.
구본영 논설위원 kby7@seoul.co.kr
2012-01-0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