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에 ‘금쪽같은 내새끼’라는 동물병원이 생겼다. 반려동물을 자식처럼 애지중지하는 이들이 늘어나니 이런 기발한 이름도 생각해 냈나 보다. 하긴 기르는 개가 나이를 먹어 걸음걸이가 시원치 않자 유모차를 사서 태우고 다닌다는 후배 이야기를 듣고 웃은 적도 있다. 그런데 ‘금쪽같은 내새끼’도 기분 좋은 표현만은 아니다. 금쪽이 내새끼보다 소중하다는 의식을 반영하고 있지 않은가.
그래서인지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반려동물을 버리는 사람이 늘어난다. 유기견만 한해 10만 마리라는데, 이들도 한때는 ‘금쪽같은’ 대접을 받지 않았을까. 개는 아무리 먼 곳에 보내도 집을 찾아오는 영물(靈物)이라는 소리는 들었는지, 섬에 개를 갖다버리는 종자도 있다고 한다.
새해부터 애완견 등록제가 전국으로 확대됐다. 무선 식별장치를 삽입하거나 등록인식표를 달아 잃어버린 개를 쉽게 찾고 유기견도 줄일 수 있다. 애완견을 헌신짝처럼 버리지 않고 금쪽같이 여기겠다는 사회적 약속에 동참하는 방법일 것이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그래서인지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반려동물을 버리는 사람이 늘어난다. 유기견만 한해 10만 마리라는데, 이들도 한때는 ‘금쪽같은’ 대접을 받지 않았을까. 개는 아무리 먼 곳에 보내도 집을 찾아오는 영물(靈物)이라는 소리는 들었는지, 섬에 개를 갖다버리는 종자도 있다고 한다.
새해부터 애완견 등록제가 전국으로 확대됐다. 무선 식별장치를 삽입하거나 등록인식표를 달아 잃어버린 개를 쉽게 찾고 유기견도 줄일 수 있다. 애완견을 헌신짝처럼 버리지 않고 금쪽같이 여기겠다는 사회적 약속에 동참하는 방법일 것이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3-01-0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