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긍정의 언어/구본영 논설고문

[길섶에서] 긍정의 언어/구본영 논설고문

구본영 기자
입력 2015-02-11 18:02
업데이트 2015-02-11 18: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컬린 터너가 그랬던가. “질투나 분노의 언사는 다른 사람을 해치지 않고 자신을 해칠 뿐이다”라고. 근래 국회의원이나 고위 공직자들이 공·사석에서 쏟아낸 막말이나 허풍으로 구설에 휘말리는 것을 지켜보면서 새삼 가슴에 와 닿는 명언이다.

각박해진 세태 탓일가. 우리 사회 전반이 온통 거친 언어들로 넘쳐나는 듯한 느낌이 드는 요즘이다. 조간 신문에서 이를 뒷받침하는 흥미로운 뉴스를 접했다. 미국 버몬트대학 연구진이 세계 10개 언어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 따르면 스페인어가 긍정적 단어를 가장 많이 쓰는 언어로 나타났다고 한다. 한국어는 구글 검색어, 신문기사, 영화 대사, 노래가사 등 24가지 빅데이터 분석에서 중국어 다음으로 부정적 단어가 많이 쓰이는 언어였다.

“인간은 말을 하는 법은 태어나면서 바로 배우게 되나 침묵하는 것은 여간해서 배우지 못한다.” 유대 격언이다. 일상생활에서 험담과 엄살 등 부정적인 언어로 남과 자신을 해치기보다는 침묵하는 게 미덕이라는 함의일 게다. 나부터 “힘들어 죽겠다”는 등 부정적인 언사가 입버릇이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겠다는 생각이 뇌리를 스친다.

구본영 논설고문 kby7@seoul.co.kr
2015-02-12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